[모리스 마테를링크 선집 03] 운명의 문 앞에서
『파랑새』작가 · 노벨문학상 수상자 · 벨기에 셰익스피어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경이를 비로소 만나다!
국내 초역 모리스 마테를링크 선집
천천히 읽고 오래 음미하는 명상의 말
꽃이 당신처럼 살아가는데,
당신의 삶도 꽃처럼 활짝 피어나지 않겠습니까?
벨기에의 셰익스피어라고 불리는 모리스 마테를링크는 우리에게 『파랑새』로 잘 알려져 있는 작가이다. 시인이자 희곡 작가인 그는 많은 산문을 남겼고, 이번에 출간된 [모리스 마테를링크 선집]은 그의 산문 가운데서도 엄선한, 오랜 세월 가장 사랑받은 작품들이다. 『파랑새』를 통해 행복은 우리 가까이에 있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한 그는, 희곡 작가로서 성공을 거두고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뒤에도 고독과 은둔을 지향하며 스스로 낮추는 삶을 택했다. 죽을 때까지 자연 속에 살면서 삶의 근원적 가치를 탐색했고, 삶과 죽음, 사랑, 행복, 운명 등에 대해 깊이 사색하며 생각의 단상들을 엮어 시적인 문체로 산문에 담았다.
[모리스 마테를링크 선집]은 어떤 철학 사상이나 종교에 얽매이지 않고 자기만의 시선으로 세상을, 자연을 바라보고 삶을 성찰한 결과물로, 우주적 진리를 자유롭게 탐구하는 시선과 신비주의적 관점이 어우러지는 가운데 과학자와 같은 세밀한 관찰이 녹아 있다. 모리스 마테를링크는 사유 속에서 솟아나는 물음과 대답들을 한 조각씩 이어가며 큰 그림을 완성해간다. 그리고 그 깨달음의 파편들을 독자들의 손에 쥐어주며 새로운 차원의 사색의 세계로 초대한다. 길가에 핀 꽃 한 송이 속에서 발견한 미시의 세계(『꽃의 지혜』)부터 온 삶과 우주를 아우르는 거시의 세계(『지혜와 운명』,『운명의 문 앞에서』)를 넘나들면서 시인의 영혼으로 써 내려간 아름답고도 장대한 사색의 파노라마가 펼쳐진다.
어린 시절 우리 곁의 파랑새를 알려주었던 그는, 파랑새를 찾지 못한 채 어른이 되어버린 우리에게 아직도 우리 곁에 파랑새가 있을지 다시 한 번 삶을 돌아보며 생각해볼 기회를 마련해준다.
저 : 모리스 마테를링크
Maurice Maeterlinck,본명:모리스 폴리도르 마리 베르나르 마테를링크
시인이자 극작가이며 수필가. 벨기에 겐트 출생으로 겐트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변호사의 길 대신 문학을 선택해 파리로 건너와 프랑스어로 작품을 썼다. 1889년에 출간한 『온실』이라는 우울하고도 감미로운 시집으로 그의 문학적 재능을 싹틔우고, 이어 『말렌 공주』라는 희곡작품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이 희곡작품에 대해 당대를 주름잡던 평론가 옥타브 비르보는 「르 피가로」지에 극찬에 가까운 평을 쓰기도 했다. 이후 클로드 드뷔시가 오페라로 작곡한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세계적으로 유명한 희곡 『파랑새』 등 수많은 희곡 걸작품을 발표했다.
1911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이후 자연과의 친화 속에서 인간과 삶의 근원적 가치를 탐색하는 다수의 수필집을 집필하였다. 저서로는 『지혜와 운명』, 『꿀벌의 삶』, 『꽃의 지혜』, 『죽음』, 『거대한 침묵에 앞서』 등이 있다.
역 : 성귀수
시인, 번역가.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집 『정신의 무거운 실험과 무한히 가벼운 실험정신』, 내면일기 『숭고한 노이로제』를 펴냈다. 폴 발레리의 『바람이 일어난다! 살아야겠다!』, 니콜라 위르토의 『방귀의 예술』, 코뵐라르트의 『빛의 집』, 앙리 코뱅의 『막시밀리앙 헬러』, 디누아르 신부의 『침묵의 기술』, 알렉상드르 졸리앙의 『왜냐고 묻지 않는 삶』, 아폴리네르의 『내 사랑의 그림자(루에게 바치는 시)』, 래그나 레드비어드의 『힘이 정의다』, 가스통 르루의 『오페라의 유령』, 아멜리노통브의 『적의 화장법』, 장 ?레의 『자살가게』, 모리스 르블랑의 『아르센 뤼팽 전집』(전20권), 수베스트르와 알랭의 『팡토마스』(전5권), 조르주 바타유의 『불가능』 등 백여 권을 우리말로 옮겼다. 2014년부터 사드 전집(제1권 『사제와 죽어가는 자의 대화』)을 기획, 번역해오고 있다.
옮긴이 서문 | 삶과 죽음을 바라보다 _ 007
운명의 문 앞에서 _ 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