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합리화의 힘
자책과 후회라는 비를 맞고 서 있는 초라한 내 영혼에 건네는 다정한 우산
너무 많이, 지나치게 자주 아파하는 나를 위한 최소한의 방어막, 자기합리화
감정적인 상처와 육체적인 한계, 사회적인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사회에서 고통은 감내해야만 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최소한의 방어막도 없이 모든 화살을 맞아내며 고통을 참는 것은 잘못됐다. 스스로의 부족하고 가녀린 부분을 조용히 감싸주고 안아주는 일, 그로 인해 내 삶의 값어치를 더 높게 쳐주는 일, 그것이 바로 자기합리화다. 이 책은 습관적인 자책보다는 자기합리화라는 방어와 수비를 통해 더 나은 나를 만드는 지름길을 알려준다.
저자 : 이승민
민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 전임의를 거쳐 강북삼성변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에 근무했다. 막연하게 의대에 진학하고, 굶어죽기 딱 좋다는 우려 속에서 정신과를 전공으로 선택했다. 현재의 자리로 오기까지 여러 선택의 순간을 거쳤으나 무엇 하나 쉽지 않았고 수시로 고민과 후회를 반복했다. 그럴 때마다 힘이 되어준 것은 합리화였다. 누구도 내 선택을 긍정하지 않고 나조차도 자신의 행동을 납득하기 어려울 때, 내 선택에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었고 이렇게라도 하지 않았으면 상황은 더 나빠졌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스스로를 위로해왔다.
상담실에 들어서서 끊임없이 자신을 자책하는 환자들을 보며, 모든 것이 당신의 잘못일 수는 없다고, 자신을 조금만 더 보듬었으면 좋겠다고, 위로하고픈 마음에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2014년, 쓸데없는 비난과 관계의 상처에 흔들리지 않는 마음의 처방전 『상처받을 용기』를 출간해 큰 반향을 얻었으며, 이후 진료와 강연들을 통해 독자들을 만나고 있다. 직장인 록 밴드 보컬로 무대에 오르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풀고 있으며, 지구는 다 보고 죽고 싶다는 좌우명은 불변의 상태로... 유지 중이다.
[프롤로그] 선을 넘는 상처로부터 나를 지켜낼 권리, 자기합리화
chapter 1 오직 나를 위한 마음의 변호
마음에도 방패가 필요하다
공격으로부터 강해지기 위한 심리 작용
좋은 관계 맺음의 기본
어떻게 방어하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심리적 방어기제의 다양한 종류
병적인 자기애와 성숙의 사이에서
벌 때문에 움츠리는 것이 내 잘못이 아니듯
성숙한 방어란 없다
방어의 방식이 사람됨을 결정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나에게 맞는 방어기제
성숙한 누군가가 되지 않아도 좋다
나는 왜 이러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가
아픔을 방어기제로 사용하는 사람들
우울 권하는 사회에 맞서
자신을 보호하려 들지 않는 사람들
비참함으로부터의 탈출
chapter 2 모든 것이 나의 탓일 수는 없다
합리화에 대한 오해와 진실
합리화라는 이름의 방어기제
가장 간편하고 튼튼한 방어막
게으른 변명으로 치부되는 합리화
인생은 합리화의 연속이다
어느 정신과 의사의 합리화 이야기
결국 모든 순간에는 합리화가 필요하다
그들은 왜 병원을 찾는가
중독에 빠진 사람들
실패한 합리화, 망상장애와 정신증
지극히 과학적인 사고, 합리화
인지부조화와 합리화 사이
설명하려 하는 뇌
모든 것이 나의 탓일 수는 없다
현실을 사수하는 방패로서의 합리화
완벽을 요구하는 것들을 향한 대답
당신에게는 합리화가 필요하다
행복을 가져오는 합리화라는 마법
행복의 합리적인 근거를 만드는 과정
chapter 3 상처받지 않는 것들의 비밀, 자기합리화
행복을 위해 마땅히 사용해야 할 사고법
우리가 합리화를 하지 않는다면
어른이라면 사용해야 할 방어의 기술
좋은 합리화에는 노력이 필요하다
의식적 합리화 vs 무의식적 합리화
바로 지금 써먹을 수 있는 합리화
나는 나, 다른 무엇이 될 필요는 없다
타인과의 비교에서 자유로워지는 방법
모두가 포장하며 산다
적법한 이기심, 자기합리화
합리화는 결국 거짓말 아닌가요?
부정을 거부할 권리
후회하지 않을 자유
후회도 선택의 결과다
결정했다면 합리화하라
건강한 합리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
마음이 건강해야 합리화가 가능하다
합리화와 자존감, 믿음의 사이에서
최소한의 출혈, 최대한의 행복
좋은 경험했다고 치지, 뭐
이렇게라도 안 했으면 더 나빴겠지
chapter 4 얼마나 아플지는 스스로 결정할 것
나를 미치게 하는 것들을 향한 건강한 변명
완벽하게 나쁜 직장은 없다
필요한 것은 나에 대한 전적인 인정
사랑하는 이를 위해서도 변호가 필요하다
결혼이야말로 슬기로운 합리화의 대상
사랑에서만큼은 네 탓보단 내 탓
아이는 무엇이든 될 수 있고 그 무엇도 될 수 없다
아이는 부모를 선택할 수 없다
자녀의 모든 성향이 가능성이다
당신의 모든 인생을 인정하라
우울은 인생에 대한 태도의 결과다
합리화가 인생을 구원한다
상처와 선 긋기
상처투성이의 우리
더 이상의 상처를 거부할 권리
[에필로그] 여전히 합리화가 두려운 당신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