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헌의 산사로 가는 길
그 이름이 하나의 장르! 강호 동양학자 조용헌의 우리 사찰 깊이 읽기
우리의 산과 절에서 길어올린 인문·지리·인물·역사·민속문화의 생생한 이야기
불교학자이자 동양학자인 조용헌 건국대 석좌교수가 30년간 발품을 팔아 전국의 산과 사찰을 답사하며 연구하고 발굴해 기록한 우리 사찰의 모든 것. 불교·도교·유교 전통을 천문·지리·인물의 차원에서 새롭게 재구성하고 풀어낸 솜씨가 일품인 역작이다. 2005년에 발행되어 그간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던 『조용헌의 사찰 기행』을 시대에 맞게 전면 증·개편해 새롭게 출간하면서, 저자는 그 특유의 섬세한 필치로 자생한 민속 문화의 전통 속에서 선가·유가와의 융합을 통해 천오백 년 넘게 이어온 사찰 문화를 중심축으로 하여, 시공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우리의 정신문화유산을 흥미롭게 재구성해낸다. 우리 땅 구석구석에 깃든 고유의 정신문화는 저자가 들려주는 입체적이고 흥미로운 이야기들과 더불어 현재화되고 내면화된다. 그 이야기들이 이토록 생생한 것은 산과 사찰이 우리 삶에 여전히 작동되는 치유의 공간이자 정신문화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강호동양학자, 사주명리학 연구가, 칼럼니스트. 보이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을 감지하는 혜안을 지닌 이 시대의 이야기꾼. 강호江湖를 좋아하여 스무 살 무렵부터 한국은 물론 중국 일본을 드나들며 수많은 기인, 달사, 학자들과 교류하고, 700여 개의 사찰과 고택을 답사했다.문文·사史·철哲·유儒·불佛·선仙·천문·지리·인사 등을 터득한 그의 학문 세계를 강호동양학이라 일컫는다. 미신으로만 여기던 사주명리학을 좋은 삶을 살기 위한 방편이자, 철학과 인문학으로 대접받는 첫 기단을 올린 장본인이다. 문필가로서의 그의 문장은 동양 산수화의 부벽준처럼 거칠 것 없이 시원하다는 평을 듣는다. 그간의 저서를 통해 그는 한국인의 ‘마음의 행로行路’를 이야기하고 있다. 아주 먼 과거에서 시작하여 미래로 이어지는 길을 안내하는 길잡이 역할이다. ‘독만권서讀萬卷書 행만리로行萬里路’, 많은 책을 읽고, 많은 여행을 통해 경험하고 실천함으로써 이치를 궁구하고, 마침내 무한한 대자연의 이치를 깨달아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게 그가 전하는 메시지이다.
주요 저서로는 《조용헌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조용헌의 사찰기행》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방외지사》 《조용헌의 고수기행》 《동양학을 읽는 월요일》 《조용헌의 휴휴명당》 《동양학을 읽는 아침》 등이 있다. 현재 〈조선일보〉 칼럼 ‘조용헌 살롱’을 2004년부터 14년 넘게 연재중이며,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좌교수로 있다.
조용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