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길에서 자본주의의 대안을 찾다
자본주의 한계, 소상인 철학으로 극복을 시도하다! 초고속 경제성장과 25년 장기불황을 온몸으로 겪은 일본의 실천적 지식인인 히라카와 가쓰미가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적 삶의 자세를 제시한 『골목길에서 자본주의의 대안을 찾다』. 저자는 이미 소비가 정점에 도달했고, 더 이상의 경제성장은 불가능하다고 진단하며 이제 필요한 일은 시간을 갖고 경제성장 없이도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대안적 방향으로 ‘소상인’과 ‘탈소비’를 제시했다. ‘소상인의 철학’에 초점을 맞추고, 이윤만을 추구하지 않고 일하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며 자기다움을 잃지 않는 방식이라고 설명한다. 즉 단기적 이익이 아니라 한 사람의 노동, 삶의 가치, 고객 중시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는 효율성과 이익의 극대화로 인해 발생한 블랙기업, 비정규직 문제 등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소상인’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생각해볼 계기가 된다.
저자 : 히라카와 가쓰미 저자 : 히라카와 가쓰미 저자 히라카와 가쓰미 平川克美는 1950년 도쿄에서 태어나 일본경제의 부흥과 25년 장기 불황을 온몸으로 경험하며 살아온 일본의 지식인이자 실천가이다. 1975년 와세다대학교 이공학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의 대표적 사상가인 우치다 다쓰루와 함께 회사를 창업하여 성장시켰다. 이후 실리콘 밸리의 투자회사 비즈니스 카페 재팬의 대표 이사, 주식회사 리눅스 카페의 대표 이사를 거치며 자본주의 사회의 첨단에서 다양한 경제활동을 경험한다. 하지만 이익의 극대화만이 강조되는 주주 자본주의에 강한 회의와 좌절을 느끼게 되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자본주의의 문제점과 대안적인 삶에 대한 고민을 치열하게 하게 된다. 저자는 물질적인 풍요를 실현한 현대 소비자본주의 경제 속에서 풍요를 실감하지 못하는 사람이 넘쳐나고 채워지지 않는 욕망이 무한대로 확대되는 듯한 모습과 많은 사람들이 장래에 대한 희망도 비전도 갖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을 보며 대안적 삶의 방향을 ‘소상인’과 ‘탈소비’로 잡고 이 책과 《소비를 그만두다》를 차례로 집필하게 되었다. 실천적 지식인답게 그는 자신이 제안하는 대안적 삶의 방식대로 운영하던 회사를 소상인 스타일로 바꾸고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마을로 일터와 주거지를 옮겨오는 등 생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돈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닌 ‘노동의 기쁨이 살아 있고 인간적인 가치관이 바탕이 되는 일터’를 만들고 지역 공동체의 부흥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다양한 저작 및 강연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으며 저서로는 《소비를 그만두다》, 《경제 성장이라는 병》, 《주식회사라는 병》, 《이행기적 혼란: 경제 성장의 종말》, 그리고 실제 아버지의 간병 체험을 바탕으로 쓴 첫 소설 《나를 닮은 사람》 등이 있다. 역자 : 장은주 역자 장은주는 일본어 전문번역가. 활자의 매력에 이끌려 번역의 길로 들어섰다. 옮긴 책으로는 《세계 최고의 인재들은 어떻게 기본을 실천할까》, 《잡담이 능력이다》, 《스물아홉 생일, 1년 후 죽기로 결심했다》, 《중년수업》, 《마흔을 위한 기억 수업》, 《서른 살 직장인 공부법을 배우다》, 《손정의》, 《스님의 청소법》, 《면역력 슈퍼처방전》, 《병에 걸리지 않는 면역생활》, 《시키는 것이 능력이다》, 《흥분하지 않고 우아하게 화내는 기술》 등이 있다 역자 : 장은주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1장. 경제에 잠식당한 사회 휴먼 스케일의 부흥 사회의 성장이란 무엇인가 풍요에 이르는 두 가지 길 가난했기에 풍요로움 ‘진보의 차이’에서 ‘구조의 차이’로 2장. 길모퉁이 경제학 오타 구, 우리 동네 지연 공동체 시대 애증의 원 풍경 상점가의 어느 일상 3장. 작은 것의 의미 ‘여가’의 출현 대량생산 대량소비 시대의 황혼 상점가의 모자 가게 가난이 어른을 만들었다 4장. ‘경제성장’에서 ‘축소 균형’의 시대로 야생이 사라진 시대 장래가 불안해서 출산율이 떨어진다? 인간은 원래 불합리한 존재이다 작은 문제와 어른의 관계에 관하여 ‘확대인가 축소인가’가 아닌 ‘균형’의 문제 반성할 줄 모르는 아이 멈춰 서서 다시 바라보자 완전 고용, 생활 수준의 인상 경제의 확대 균형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후쿠시마에서 보는 희망 5장. 소상인의 권유 이행기에 일어나는 국민의식의 전환 개인의 발견 늦은 것에 대한 책임 ‘지금 여기’에 책임을 갖는 생활방식 축소 균형의 시대 다시, 소상인의 시대로 이부카 마사루의 ‘소상인 선언’ 경세제민이 의미하는 것 이정표로서의 소상인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