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덕 시대의 문화마케팅
컬덕 시대의 개막은 문화예술 산업이 큰 전기를 맞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문화예술 종사자들은 이제 고급예술을 향유하는 소수 엘리트들이 쳐놓은 장막을 거두고 나와 보다 광범위한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만 한다. 문화소비자들의 급성장은 이들의 움직임을 더욱 재촉한다. 브랜드와 상품에 문화적 속성이 덧입혀지는 문화융합상품으로서 컬덕 은 공연 및 전시 기획자들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업의 문화마케팅 현황과 성공사례를 담고 있다. 또한 문화인프라 확충과 미래 잠재관객의 개발을 위한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전략을 제공한다.
김민주 마케팅 전략 컨설팅 회사인 (주)리드앤리더의 대표를 맡고 있다. 서울대와 시카고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한국은행과 SK를 거쳤다. 미래와 트렌드 예측을 ‘먼지’의 발견으로 생각하는 저자는 경제학, 심리학, 마케팅, 트렌드, 미래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다. ≪마케팅 상상력≫ ≪로하스 경제학≫ ≪마케팅 어드벤처 1, 2≫ ≪성공하는 기업에는 스토리가 있다≫ 등의 서적을 저술했으며, ≪극단적 미래예측≫ ≪깨진 유리창 법칙≫을 번역했다. 이마스(www.emars.co.kr) 김민주 리드앤리더 대표가 운영하고 있는 비즈니스 사례분석 사이트이다. 매일 한 편의 사례가 게재되고 있는 이 사이트는 150여 명의 탁월한 사례분석가들이 참신한 사례 토픽을 발굴하여 사례를 분석하고 있으며 현재 1,500여 개의 사례가 등록되어 있다. 그 외에 트렌드, 비즈구루, 서평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머리말 1장 문화마케팅의 개념과 중요성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문화시장 / 문화는 21세기 핵심 트렌드다 / 문화는 예술을 포함한다 / 문화예술산업은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이다 / 문화마케팅의 큰 흐름 / 문화 소비, 시간이 부족하다 / 문화 소비자는 매스티지를 원하고 있다 / 기업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 문화융합상품, 컬덕(cultduct) 태어나다 / 문화예술은 콘텐츠이다 / 문화마케팅에는 로고스, 파토스, 에토스가 필요하다 / 특별기고_문화마케팅의 의미 : 두부 위에 찍힌 동양란 2장 전시마케팅 21세기 박물관의 역할과 의미 / 경제적 역할의 부상 / 외부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도전 / 새로운 문화소비자의 등장 / 재원조성의 다양화 / 관람객의 소비심리학 / 전시문화 참여자의 증가 / 박물관은 ‘경험적 브랜드’ / 박물관 마케팅 / 소비자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 / 기회와 위협 요인 / 마케팅 조사와 방법 / 시장세분화 / 표적시장 선정 및 포지셔닝 / 마케팅 믹스 / 제품(Product) / 가격(Price) / 장소 및 유통(Place) / 촉진(Promotion) /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 / 사람(People) / 과정(Process) / 맺음말 3장 공연마케팅 국내 공연예술 시장의 현황 / 공연시장과 시설의 확대 / 문화콘텐츠의 성장과 관객마케팅의 등장 / 공연예술 산업과 마케팅 / 리스크 최소화 특성 / 복합콘텐츠 기업의 등장 / 관객지향주의 마케팅 / 공연예술의 재원조성 / 공공지원 / 민간지원 / 마케팅 믹스 / 제품(Product) / 가격(Price) / 장소와 유통(Place) / 촉진(Promotion) / 과정(Process) / 사람(People) / 물리적 증거(Physical Evidence) / 맺음말 / 특별기고_오페라의 유령과 뮤지컬 마케팅 4장 기업의 문화마케팅 기업 문화마케팅의 개념 / 문화마케팅의 배경과 정의 / 메세나협의회의 출현과 그 역할 / 기업의 문화마케팅 참여 동기 / 국내 기업의 문화마케팅 현황 / 기업 문화마케팅의 변화와 경향 / 문화마케팅의 전략과 유형 / 문화판촉 / 문화지원 / 문화연출 / 문화기업 / 문화후광 / 문화마케팅의 기대효과 / 문화마케팅의 3단계 효과 / 기업 문화마케팅의 실천 방법 / 맺음말 / 특별기고_문화마케팅? …문화마케팅! 5장 문화예술 교육과 마케팅 마케팅으로서의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단계별 기획 과정 / 기관·단체의 미션 검토와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 SWOT 분석과 사업목표 구체화 / 대상 연구 /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기획 / 문화예술 교육과 파트너십 /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