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제안서 작성 기술 200 무작정 따라하기
************************************************** 전자책 구입시 표지에 적혀있는 부록CD, 동영상, 플로피디스크 등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길벗 사이트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지은이 니시다 도오루(西田徹) (주)이메일마케팅연구소(www.emmi-i.com)대표이사. 1986년 교토대학 농학부 졸업. 1988년 동 대학원 졸업. (주)리쿠르트에서 인재 교육 비즈니스를 담당했고, 1993년 뉴욕대학에서 경영학 석사학위(MBA)를 취득했다. 그 뒤 (주)보스턴컨설팅그룹, (주)카렌에서 근무했다. 전문 영역은 컨설팅 전반과 인터넷 마케팅이다. 저서로는 《이메일 마케팅으로 매상을 100배 늘리는 방법》《이메일로 시장을 금방 100배로 넓히는 책》《여기까지 왔다! 모바일 마케팅 진화론》등이 있다. 감수자 윤영돈 윤영돈 커리어코치연구소(www.yooncoach.com) 대표와 한국커리어컨설티협회 운영위원장으로, 30대 직장인들의 경력을 관리하는 경력개발전문가(커리어코치, CareerCoach) 겸 취업전략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코리아인터넷닷컴(http://korea.internet.com)에 ‘윤영돈의 커리어 컨설팅’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연재 중이다. 이 책의 내용을 감수하면서, 한국 기업 문화에 어울리는 기획?제안서 작성과 활용의 실무 사례를 보충했다. 저서로는 《30대, 당신의 로드맵을 그려라》《창의적 프레젠테이션》 이 있다. 옮긴이 김혜숙 한림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전국 국공립대학교 교육원협회에서 한국어 강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강의를 했다. 2006년 현재 엔터스코리아에서 일본어 전문 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차이나는 기회다>, <한국인은 좋아도 한국민족은 싫다>, <이상한 나라의 수학>, <퇴근 후 3시간> 등이 있다.
머리말 추천사 이 책의 구성요소를 소개합니다. 첫째마당 : 기획·제안 준비하기 01 기획·제안의 본질 이해하기 001 기획·제안 활동의 6단계 002 제안이란 무엇인가? 003 기획이란 무엇인가? 004 고객의 행동을 변혁한다 005 고객에게 실리를 제공한다 006 고객에게 해석 가치를 제공한다 007 기획·제안을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로 파악한다 008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009 정답은 여러 개, 고객의 결심을 돕는 것이 핵심! 010 직감을 이용한다 011 대가는 성과와 비례한다 012 주제를 영업 활동에 국한하지 않는다 013 주체적으로 관여한다 02 고객과 관계 형성하기 014 제안 활동의 4가지 유형 015 고객의 주요 인사를 반영한다 016 고객의 입장을 배려하여 표현한다 017 사내 제안이 빠지기 쉬운 덫 018 제안하는 측의 개성을 발휘한한다 019 자기 관리를 철저하게 한다 020 팀으로 기능을 분담한다 021 고객과 제안하는 측의 협동이 성공의 비결 둘째마당 : 기획·제안의 주제 정하기 03 고객의 요구 이해하기 022 오리엔테이션 자리를 의미 있게 만든다 023 건네받은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한다 024 진짜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025 진짜 문제를 보려면 시점을 넓게 둔다 026 습관적으로 고객의 설명에 의문을 품는다 027 아마추어 인 점이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한다 028 닫힌 질문 , 열린 질문 을 구사한다 029 하청 (下請)이 아니라 상청 (上請)이다 현장 메모 - 고객은 적 (敵)이 아니라 파트너 이다 04 공개 정보 숙지하기 030 공개 정보의 가치와 맹점을 안다 031 간행물의 공개 정보를 조사해 수집한다 032 인터넷의 공개 정보를 활용한다 033 조사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수집한다 현장 메모 - 고객에 맞추어 정보를 철저하게 검색하라 05 무엇이 진짜 주제 인지 짐작하기 034 가설 사고로 주제를 정한다 035 가설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036 유추형 추정, 중첩형 추정 037 가설이 없을 때, 틀만 짠 가설, 명확한 가설 038 비논리적인 가설, 논리적인 가설 셋째마당 : 고객의 현상 깊이 파악하기 06 인터뷰와 설문조사로 가설 진화시키기 039 인터뷰와 설문조사로 가설을 확인한다 040 얕고 넓은 인터뷰, 깊고 좁은 인터뷰 041 인터뷰할 질문 사항을 미리 준비한다 042 의도적으로 시간을 배분한다 043 인터뷰 진행자는 일인이역을 소화한다 044 질문으로 상대방이 생각하게 만든다 045 의견이 아니라 사실을 듣는다 046 자기 능력에 맞게 메모한다 047 인터뷰 직후에 바로 정리한다 048 고객을 인터뷰할 때 유의할 점을 파악한다 049 가설을 뒷받침할 수치 데이터를 수집한다 050 설문조사에 인터넷을 활용한다 051 설문조사 결과는 교차 집계를 실시한다 07 최종 가설 세우기 052 가설 검증을 바탕으로 최종 가설을 세운다 053 제로베이스 사고로 가설을 정리하고 조립한다 054 기획·제안의 도달점을 확인한다 055 미래 설정형 가설의 유의점을 파악한다 056 논리의 흐름을 점검한다 057 영향력에 따라 우선순위를 매긴다 058 가설에서 인과의 방향에 주의한다 059 증상에 손을 쓰지 말고 원인을 분석한다 넷째마당 : 해결책 입안하기 08 아이디어 발산하기 060 아이디어 발산과 수렴의 차이를 이해한다 061 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원칙을 의식한다 062 회의에서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다 063 체크리스트법으로 아이디어를 발산한다 064 성장 매트릭스로 성장 기회를 발견한다 065 SWOT으로 상황을 폭넓게 살핀다 066 SWOT 분석을 토대로 아이디어를 내놓는다 067 다른 사람과 토론하며 아이디어를 발산한다 068 아이디어 발산의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다 069 일단 써놓고 생각한다 070 아이디어 메모, 아이디어 노트를 이용한다 071 범주를 초월해 모방한다 현장 메모 - 브레인 휘트니스‘를 하라 09 아이디어 수렴하기 072 KJ법은 보텀업식 아이디어 수렴방식 073 로직 트리는 톱다운식 아이디어 수렴방식 074 KJ법과 로직 트리의 장단점을 파악한다 075 MECE로 로직 트리의 완성도를 판단한다 076 비즈니스의 전형적인 트리를 알아둔다 077 인과 관계가 순환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낸다 078 매트릭스로 두 가지 요인의 영향을 분석한다 079 순서도로 아이디어 결과의 순서를 나타낸다 080 한마디로 말하면? 하고 자문자답한다 다섯째마당 : 기획·제안서 작성하기 10 기획·제안서의 본질 이해하기 081 기획·제안서 작성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다 082 문서화하면 사고가 깊어진다 083 문서화하면 메시지의 전달력이 높아진다 084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