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상식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민족 문화의 상식 육당 최남선이 들려주는 조선의 상식 이야기 <조선의 상식>. 신문학 운동의 선구자인 최남선이 조선에 관한 상식을 널리 알리기 위해 문답형식으로 쓴『조선상식문답』을 이해하기 쉽게 현대어로 고친 책이다. 매일신보에 연재했던 조선상식 을 토대로, 일제 강점기가 끝난 직후인 1946년에 재편하여 단행본으로 펴내 큰 인기를 얻었다. 최남선은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에 대한 근원적인 궁금증과 자긍심의 문제를 자신의 소신을 곁들여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해방 직후의 사회에 필요했던 조선인들의 민족의식을 높이고 역사인식을 깨우쳐주고자 했다. 여기서 언급하고 있는 조선 은 조선왕조가 아니라 고조선 이전부터 우리 민족을 일컫는 말, 즉 우리 민족의 브랜드 파워다. 이 책은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민족 문화의 상식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를 왜 삼천리 화려강산이라고 불렀는지, 백일을 차리고 돌을 잡히는 의미는 무엇인지, 한글은 언제 생겼는지 등 역사, 문화, 종교, 어문을 포함한 문화 전반을 살펴보면서 우리가 우리나라에 대한 지식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스스로에게 묻게 한다.
최남선崔南善 지음 문화 운동가·작가·사학자. 호는 육당六堂. 신문학 운동의 선구자로 잡지 《소년》, 《샛별》, 《청춘》 등을 간행하였고, 최초의 신체시인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였다. 3·1 운동 때 독립선언서를 기초하고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다가 투옥되었다. 후에 일제의 침략 전쟁을 미화, 선전하는 등 친일행적으로 말미암아 비난을 받기도 했다. 저서에 시조집 《백팔번뇌》, 사서史書 《조선 역사》, 《고사통》 등이 있다. 육당은 이 책에서 우리는 이 땅에서 왜 살고 있는가. 우리는 이 땅에 무엇 하러 왔는가. 우리는 우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우리가 우리의 후손들에게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의 민족 전통은 무엇이며 우리는 지금 어디에 와 있는가에 대한 우리 민족에 대한 근원적인 궁금증과 자긍심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애쓰고 있다. 최상진 해제 국어학을 전공하였으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어문회, 한국의미학회 이사 및 경희대학교 문과대학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언어의 이해》(공저), 《국어 문법과 맞춤법》(공저) 등이 있다.
해제 - 조선, 조선인의 브랜드 파워 조선의 상식 서 1장 국호 조선 명칭의 기원 / 조선의 의의 / 조선 명칭의 사용 횟수 / 대한 의 내력 / 서양 제국의 조선 호칭 / 인근 나라의 조선 호칭 / 근역 의 유래 / 진의 의미 / 청구의 의미 / 동국.해동.대동 2장 지리 조선의 지리 / 동서남북의 끝 / 넓이 / 삼천리강산의 유래 / 조선땅의 폭 / 해안선 / 섬 / 지리상 구분 / 행정산 구획 / 각 도 명칭의 유래 / 도의 의의 / 고을의 변천 / 산악의 수 / 최고봉 / 대표적 명산 / 4대 명산 / 대표적 하천 / 평야 / 호수 / 기후 / 장마 / 높새바람 3장 물산 조선의 자원 / 동물의 수 / 식물의 수 / 광산 상태 / 쌀 / 면화 / 인삼 / 과실 / 이름난 과일 / 감귤류 산지 / 차 / 연초 / 종이 / 이름난 종이 / 압롭강 목재 / 축우 / 10대 어업 / 금 / 철 / 석탄 / 흑연 / 고령토 / 시멘트 / 희유원소광물 / 조선의 석유 4장 풍속 흰옷의 유래 / 흰옷의 폐단 / 두루마기 / 망건 / 탕건 / 신발 / 나막신 / 음식 만드는 법 / 신선로 / 약식 / 약과 / 약주 / 명주 / 떡 / 남주북병 / 시식 / 지방의 음식 / 백일 / 돌잡이 / 관례 / 장가 / 동성혼 / 삼년상 / 윷놀이 / 편쌈 / 널뛰기 5장 명일 설 / 대보름 / 제용 / 부럼 / 답교 / 2월 초하루 / 한식 / 삼짇날 / 초파일 / 단오 / 유두 / 백중 / 가위 / 9월 9일 / 상달 / 개천절 / 동지 / 납향 장 역사 조선 역사의 시작 / 조선 역사의 줄기 / 조선의 민족 문화 / 특징(1) 사회 전통의 연면성 / 일본과의 비교 / 특징(2) 강인성 / 특징(3) 목적성 / 영광의 시기 / 치욕의 시기 / 조선의 민족성 / 파쟁성, 사대성의 변 / 고쳐야 할 병폐 / 슬픈 역사의 시기 / 외적의 압제 / 조선의 역대왕조 / 조선왕조 열조표 7장 신앙 조선의 고유 신앙 / 조선 민족교의 내력 / 고유 신앙의 융성기 / 부루 교단의 연성 방법 / 부루 교의 유적 / 단군 교의 근황 / 대종교의 의의 / 정감록 / 남조선 / 동학 / 유사종교 8장 유학 유학의 전래 / 정주 이외의 학파 / 승무유현 / 서원 / 성균관 / 사학 / 향교 / 석전 / 거재 / 유교가 조선에 끼친 영향 9장 종교 불교의 전래 / 이차돈의 순교 / 불교가 조선에 끼친 영향 / 대표적 명승 / 조선왕조의 억불정책 / 31본산 / 조선 불교의 종파 / 도교의 전행 / 기독교의 전래 / 천주교의 의의 / 기독교 순교 미담 / 기독신교의 전래 / 영국 성공회 / 기독교가 조선에 끼친 영향 / 이슬람교 10장 어문 조선어의 언어학상 종류 / 우랄 알타이어족 / 조선어의 연원 / 조선어의 구성 내용 / 외래어 / 조선 국문의 성립 / 훈민정음의 연원 / 훈민정음의 특색 / 우리글의 바른 이름 / 한글 / 28자모의 연혁 / 훈민정음의 보급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