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웅수 회고록
군인으로 활발히 활동해 온 김웅수의 회고록. 이 책은 김웅수가 자신의 꿈 많던 성장기, 일본군 시절의 파란만장한 사건들, 광복의 기쁨, 6·25 한국전쟁의 발발, 5·16 쿠데타로 인한 인생의 변화, 미국 유학과 가톨릭 대학교 시절, 건양대학교 교수 시절 등을 회상한 책이다.
김웅수 학 력 1972: 미국 Washington D.C 가톨릭대학교 경제학 박사 1962~1966: 미국 시애틀 소재 워싱턴대학(University of Washington) 경제학 학사 ? 석사 1955: 미국 Ft. Leavenworth 참모지휘대학 졸업 1952: 한국 참모대학 졸업 1944: 만주 여순고등학교(당시 일본 제국대학 예과 격) 졸업 민간 경력 1994~2000: 건양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1995~1998: 건양대학교 경영연구소 소장 1972~1993: 미국 가톨릭대학교 교수 1990: 서울 연세대학교 초빙교수 1982: 서울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1969~1971: 미 육군성 공병감실 수자원 투자 효율 분석관 군사 경력 1946~1961: 대한민국 육군장교로 근무, 5 ? 16 군사 쿠데타 당시 육군 제6군단장으로 쿠데타에 반대하여 육군 소장으로 군에서 예편 주요 군사 경력 한국 전쟁 전: 육군 사관학교 생도 대장과 수도사단 참모장 한국 전쟁 중: 육군 제2사단장, 제2군단 참모장, 제8사단 부사단장, 육본 비서실장, 육군 종합학교 학생연대장, 제1군단 인사참모 한국 전쟁 후: 육군 제6군단장, 육군 군수 참모부장, 육군 작전국장, 육군 제1야전군 창설을 위한 사령관 대리 겸 참모장 1944~1945: 일본군 학도병으로 강제 출병하여 만주 관동군 입대 1945: 일본 센다이 육군 예비 사관학교 졸업 현 재: 워싱턴 한인교회 원로 장로, 한미 장학재단 동부지회 이사, 한미재단 미 동부 재향군인회와 국가 유공자회 고문, 국제 한국학회 이사
머리말 추천사 제1장 꿈 많던 성장기 1923년, 경상북도 지례 1927년, 독립군 부락 1932년, 하얼빈으로 나의 중학교 시절 중학교 시절부터 시작한 스포츠 활동 창씨 개명과 5족 협화회 나의 여순고등학교 시절 조선인 동문들 2년제 가졸업과 학도병 출병 첫사랑 한글 공부와 이극로 박사 제2장 일본군 시절과 광복의 기쁨 학도병으로 입대하다 일본 육군 이등병 정신대와 일본군의 만행 간부후보생이 되어 부금으로 이동 장교후보생이 되어 료양으로 본토 방위요원, 센다이 예비사관학교로 야마가다 연대 소대장 부임 반다이 산에 집결한 조선인 장병들 우여곡절의 귀국길 대한민국의 건국과 건군 이범석 장군과 신성모 장관의 부관 시절 나의 결혼 육군사관학교 생도 대장 제3장 처참한 6ㆍ25 한국전쟁의 발발 수도사단 참모장 전쟁이 일어나다 인민군의 서울 입성 서울 탈출 한강 방어선 안양 방어선에서 실종되다 제4장 새로운 인생을 걷게 한 5ㆍ16 5ㆍ16 쿠데타 공비 토벌과 전쟁으로 확장된 군의 정치 영향력 군수기지사령관 박정희 소장의 혁명 제안 5ㆍ16 쿠데타 소식과 6군단 혁명 검찰에 기소되다 서대문 형무소로 옮기다 재개된 혁명 재판과 재수감 자의반 타의 반 미국 유학 미국으로 온 아내와 내조 군인에서 학자로, 재2의 인생 출발 유신 반대 지휘로 미국 정착 5ㆍ16 쿠데타에 대한 평가와 재발 방지 제5장 미국 유학과 가톨릭대학교 시절 미국에서의 유학 생활 석사 과정에 도전하다 박사의 길 가톨릭대학에서의 박사 과정 10년 만의 고국 방문 10월 유신에 반대하다 자녀 교육과 자존심 소천, 안식년, 고려대학교 교환교수 장학회에 참여하다 가톨릭대학의 한국 교수들 가톨릭대학 경제학과의 한국 학생들 제6장 건양대학교 시절 고향에서 가르치게 되다 고향에서 미국으로 돌아간 후의 생활 국제한국학회 이사장을 맡다 부모님 탄생 100주년 기념 영임장학금 설치 제7장 사랑하는 나의 아내에게 아내의 빈자리 김웅수 교수 약력 인명 색인
김웅수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