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멘트
사랑은 갔어도 진실은 남았다! <빅 픽처>의 작가 더글라스 케네디가 그려낸 사랑하기 와 살아가기 에 대한 이야기 『모멘트』. 통독 이전의 베를린을 배경으로, 두 남녀의 사랑 이야기와 분단과 냉전으로 상징되는 비극의 역사가 서로 얽히고설키는 구조를 이룬다. 수십 년을 오가는 시간적 배경, 극적인 반전, 복잡한 정치적 배경 속에서 삶의 놀라운 비밀과 한 여자의 아픈 진실이 드러난다. 작가는 사랑 이야기를, 그것도 분단된 베를린이라는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벌어지는 독특한 사랑 이야기를 설득력 있게 그려냈다. 배경과 인물 모두를 잘 살리는 더글라스 케네디의 실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작품이다.
저자 더글라스 케네디 Douglas Kennedy 1955년 뉴욕 맨해튼에서 태어났으며 열 권 이상의 소설과 다수의 여행기를 출간했다.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영국에서 주로 살고 있다. 조국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는 작가로 유명하다. 전 세계적으로 명성이 자자하지만 특히 유럽, 그중에서도 프랑스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2006년에는 프랑스문화원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수여받았다. 2009년 11월에는 프랑스의 유명 신문인 《피가로》지에서 수여하는 그랑프리상을 받기도 했다. 프랑스 사람들은 왜 더글라스 케네디의 소설에 열광할까? 외면적으로는 그가 정치적으로 미국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작가의 소설 전반에 녹아 들어있는 박학다식한 면모, 등장인물에 대한 완벽한 탐구, 대자연에 대한 신비롭고 장엄한 묘사, 풍부한 예술적 소양이 크게 어필하기 때문일 것이다. 세계 각지로의 다양한 여행 경험이 작가적인 바탕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위험한 관계》는 더글라스 케네디의 작가적 매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작품이다. 평범했던 일상이 예기치 않은 실수를 통해 뜻밖의 사건으로 빠져드는 이야기를 좋아하는 더글라스 케네디는 신문사 해외 특파원으로 만나 결혼에 이르는 샐리와 토니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서로를 아껴주며 잘 살 것 같았던 그들의 결혼생활은 불과 한 달도 안 돼 암담한 위기 상황을 맞는다. 불안정한 결혼 생활로 인생 최대의 위기에 봉착한 샐리는 끝내 좌절하지 않는 용기와 통찰력을 가진 지혜를 바탕으로 다시금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삶을 향해 나아간다. 주요작품으로 《빅 픽처》, 《The Dead Heart》, 《The Job》, 《Leaving the World》, 《The Pursuit of Happiness》, 《The Woman in the Fifth》, 《Temptation》등이 있으며 격찬을 받은 여행기로 《Beyond the Pyramids》, 《In God s Country》등이 있다. 역자 공경희 전문 번역가로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성균관대학교 번역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서울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대학원에서 강의했다. 시드니 쉘던의《시간의 모래밭》으로 데뷔한 후 《호밀밭의 파수꾼》,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엔조》, 《비밀의 화원》,《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파이 이야기》, 《천국에서 만난 다섯 사람》, 《우리는 사랑일까》, 《행복한 사람, 타샤 튜더》, 《우연한 여행자》, 《꿈꾸는 아이》, 《매뉴얼》, 《스톨른 차일드》, 《데미지》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우리말로 옮겼다.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지금은 번역가와 문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PART 01 산책의 말머리 01 序言-언론학 교수의 미디어 散策 02 저자 소개 PART 02 학술세계 01 이강수교수가 본 昇雲의 학문세계 1. 방송학 연구의 선구자 및 그 배경 2. 나눔(Sharing)의 인간커뮤니케이션 주창자 그리고 실천자 3. 문화콘텐츠분야와 디지털 정책분야에 대한 관심 4. 나눔의 커뮤니케이션과 연계된 사회적 실천 02 학술 산책 PART 03 미디어관련 이야기 01 미디어관련 년대별 1. 산책을 시작하며- 년대별 순서 2. 語錄과 행보 3. 1970년대 개괄 4. 1980년대 개괄 5. 1990년대 개괄 6. 2000년대 개괄 7. 2010년도 개괄 PART 04 교회와 커뮤니케이션 활동 01 교회커뮤니케이션 활동 02 교회와 커뮤니케이션 개관 1. 교회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적 고찰 2. 커뮤니케이션/미디어 관련 교회문헌과 가톨릭의 가르침 부록 1. 사단법인 한국방송비평회의 20년 발자취 부록 2. 한국형 신문 지원기구 모델 정착을 위한 모색 01 들어가며 02 국내 지원제도 및 지원기구 03 한국언론진흥재단 04 한국형 지원기구 모델 정착을 위한 제언 부록 3. 청소년과 인터넷문제도 고민해본다: 왜 그들은 인터넷에 빠져 드는가 부록 4. 진주드라마축제 01 시청자는 TV드라마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부록 5. PD특파원제 01 PD특파원제의 원활한 활용을 위한 제언 02 2009년 7월 3일 [여의도연구소]가 주관하는 토론회에서 본인이 발제한 논문: 을 통해본 PD저널리즘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