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그 안의 정치
삼국 시대가 난세가 된 이유 중 하나는 백성들이 정치제도나 통치자들에 대해 자긍심을 갖고 있지 않은 까닭에 정치체제가 몹시 불안정했을 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통치자에 대한 충성심도 쉽게 이완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백성들은 어느 정권이 들어서든 별로 상관하지 않았다. 이러한 백성들의 충성심 결여는 체제의 불안정을 초래했다. 근 1백여 년 동안 이어지면서 많은 정치적 변화를 겪은 시대였다. 결국 난세라 함은 변화의 영구성을 의미한다. 결국 삼국 시대의 변화는 정치적 갈등에서 야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치적 갈등으로 통치 엘리트 및 통치 조직과 권력 구조에 변동이 오고 또한 체제도 달라졌던 것이다. 이같은 환경이 건달 유비를 제위에 오르게 하고, 백정인 장비가 제후가 되는 기회를 주었던 것이다. 삼국지는 우리의 정치 과정이나 본질을 충분히 설명해 주는 훌륭한 교재이자, 우리에게 삶의 지혜를 알려주는 경서이다. 또한 인간의 적나라한 면을 보여 주는 역사책이자 훌륭한 드라마 대본이다.
저자 소개가 없습니다.
이 책을 내면서 1장 정치란 무엇인가 2장 정치의 본질 3장 삼국 시대 국가의 특징과 흥망성쇠 4장 삼국 시대의 이데올로기 5장 삼국 시대의 정치 행태 6장 삼국 시대의 지도자들과 정치 기반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