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
울고 싶어도 울 수 없는 우리 아버지들에 관한 이야기! 우리 아버지들의 모습을 그린 소재원의 르포소설『아비』. <나는 텐프로였다>의 작가 소재원이 이번에는 세상의 아버지들에 관한 슬프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보편적인 주제인 아버지 를 다루기 위해 많은 아버지들을 찾아다녔다는 작가는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아버지란 존재의 의미를 묻는다. 소설은 네 사람의 아버지에 관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한센병을 앓은 아버지를 둔 중소기업 사장, 큰 장애를 지닌 게임회사 사장의 아버지, 화류계에 있는 딸을 둔 아버지, 어릴 적 소아마비를 앓은 미술선생인 아버지. 직업과 성격, 사회적인 위치가 전혀 다른 사람들이지만 그들 역시 모두가 자식의 과정을 거쳤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한때는 순수한 젊음을 자랑했던 아버지들. 아버지라는 이름 때문에 그들은 나이를 먹어가며 소심한 아저씨, 고집스런 영감탱이로 변해간다. 항상 강하기만 할 것 같은 아버지들도 자식들에게 말 못할 고독과 슬픔을 가슴 속에 품고 있다. 작가는 인터뷰를 바탕으로, 아버지들의 고귀한 사랑과 자식들의 후회를 그려내었다. ☞ 작품 조금 더 살펴보기! 작가는 자기 자신을 비롯하여 세상의 모든 자식들에게 묻는다. 과연 내 아버지의 아픔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아버지와 뜨겁게 포옹을 해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 진정으로 사랑한다는 말을 해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 지금 하지 않으면 늦는다 는 평범한 진리를 전하는 작품이다.
지은이 소재원 2008년 첫 소설 『나는 텐프로였다』를 발표하면서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3년간의 취재 끝에 써낸 이 소설은 호스트바와 화류계를 정면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세인의 주목을 끌었다. 또한 윤종빈 감독(하정우, 윤계상, 윤진서 주연)에 의해 〈비스티 보이즈〉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기도 하였다. 이 책 『아비』는 세상의 아버지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첫 책에서 보였듯, 저자는 스스로를‘글이 아닌 발로 쓰는 작가’라고 말한다. 책 속이 아닌 ‘현장’에 충실한 것이다. 가장 보편적인 주제인 ‘아버지’에 관한 이 작품을 쓰기 위해서도 작가는 세상의 많은 아버지들을 찾아다녔다. 생생한 아버지들의 목소리를 통해 저자는 시대가 변해도 변함없는 아버지란 존재의 의미를 묻고 있다.
이야기를 시작하며 제1장 아버지의 전화기 제2장 아버지라 하지 못한 말들 제3장 내가 아버지이니까 제4장 아버지의 일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