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전쟁
식품 정책 분야의 핵심 인물이 주요 문제를 직면하기보다는 회피하고 있고, 전체적인 관점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간단한 정책을 세워 다루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는 저자는 식품정책의 부재가 사회전반과 인류에 얼마나 많은 위협이 되고 있는지를 낱낱이 분석해주고 있으며, 미래에 세계의 모든 인구가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한 흥미로운 비전을 제시해주고 있다.
경제학 박사. 1959년 서울 출생. 고려대 대학원을 나와 동국대에서 식품 관련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농협중앙회 근무와 월간 <<전원생활>> 편집장을 거쳐 현재 농민신문 편집부국장으로 재직중이다. 저서로 <<녹색갈증>> <<약이 되는 우리 음식 순례>> 외 다수의 책을 펴냈다.
서론 17 왜 식품 전쟁인가? 20 식품과 건강에 관해 혁신적인 대안을 실행할 수 있을까? 아니, 가능하기나 할까? 22 이 책의 개요 25 1장 식품 전쟁 이론 29 도입 30 식품 정책 대안 31 식품 공급 체인의 주요 특징 33 패러다임 전쟁 : 새로운 체제의 시대? 35 생산자 패러다임 37 두 개의 새로운 식품 공급 패러다임? 39 생명과학 통합 패러다임 40 생태학적 통합 패러다임 44 세 가지 패러다임 요약 47 어떤 패러다임이 주도할 것인가? 49 ‘패러다임’ 체제에서 식품과 건강의 위치 52 건강에 대한 생명과학 및 생태학적 통합 패러다임의 접근 방식 55 정책과 근거를 통한 식품 전쟁 끝내기 58 소비자 사로잡기 59 근거에 따른 정책? 60 2장 음식물과 건강 : 질병과 식품 65 도입 66 영양 전환(Nutrition Transition) 72 영양결핍의 세 종류 : 섭취 부족, 과잉 섭취, 불량 섭취 78 비만의 유행 81 음식물 관련 질병 부담 계산하기 88 식품 안전성과 식원병(食源病) 102 불평등과 식품 빈곤 106 변화하는 식품 안전의 의미 110 서구 사회의 식품 빈곤 113 정책적 함의 114 3장 식단과 질병에 대한 정책 대응 117 도입 118 건강에 대한 개념 변화 119 공중 보건의 개념 변화 120 영양 개척자 : 100년 전쟁 123 식품과 영양에 관한 정교한 접근방식 125 제2차 세계 대전 후 사회적 영양의 발전 127 공중 보건 전략 : 대중과 ‘위험에 처한’ 그룹 중 어디를 목표로 할 것인가? 129 식단 가이드라인과 목표 131 미국에서의 식단 가이드라인 전쟁 133 서구식 식단에 반대하는 사례 134 식품, 음식, 건강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 136 비만 : 문제에 대한 정책 대응을 둘러싼 실전 사례 연구 139 비만에 대한 공공 정책의 대응 140 업계의 대응 142 4장 식품 전쟁 비즈니스 145 식품 시스템에서 상업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싸움 146 산업화된 식품 공급의 기원 148 왜 식품업계에서 건강이 중요한가? 153 세계 식품 경제의 상황 변화 154 농업과 식품 생산의 두드러진 변화 157 현대 식품 시스템 이해하기 158 식품 기업 동맹의 등장 161 농업의 소외 166 새로운 ‘건강’ 식민지주의? 170 식품 가공업체의 세계적 범위 및 활동 173 식품 제조와 가공의 장기적인 구조 변화 175 21세기의 기업 문화 변화 176 세계화에서 현지화로 178 식품 소매 분야의 신속한 통합과 집중 180 식품 소매업체와 납품업체들 184 식품 서비스 업계의 규모 187 유전자 조작 생명공학과 유기농의 성장을 둘러싼 정치학 192 요약 및 결론 201 5장 소비자 문화 전쟁 203 입과 마음의 전쟁 204 음식과 건강 : 소비자를 위해 이미 체결된 협상인가? 205 부족과 필요의 소비 208 햄버거 정치 209 신규 소비자 망과 경쟁 모형들 211 ‘정신분열증’ 소비자? 214 음식 문화 형성 216 식품 광고와 교육 217 비만 : 식품 마케팅의 새로운 정의 221 요리와 음식 문화 226 쇼핑, 소비 그리고 음식 228 음식 행동주의와 NGO의 역할 228 6장 품질 전쟁 : 공공 건강과 환경 건강을 함께 지킨다 233 도입 234 소비자들은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 237 집약화 238 식품과 생물 다양성 241 물 243 오염과 농약 245 쓰레기 247 토양과 토지 249 기후 변화 249 도시화 251 에너지와 효율성 253 생선을 많이 먹으라고요? 260 육류 265 항생제 266 꾸준한 과일 섭취 : 영국의 사례 연구 268 농업과 생물학의 충돌 : 인간의 신체가 잘못된 것인가? 271 7장 식품 민주주의인가, 식품 규제인가? 275 지배구조는 왜 중요한가? 276 시민 사회의 등장 279 정책 공약의 설정 282 세계의 조직은 식품과 건강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282 세계 표준 284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지역 기구 : 유럽연합의 사례 287 농업, 보조금 그리고 건강 289 새로운 건강에 대한 생각을 국가 기관에 주입하기 292 새로이 등장한 전선 : 식품 민주주의 VS 식품 규제 297 인간의 자유와 소비자의 선택 298 결론 299 8장 미래 301 도입 302 어떤 패러다임이 승리할 것인가? 305 패러다임 분석 307 시민 사회에서 제기된 문제점 310 미래의 모습 317 정치적 선도 추구 318 각주 및 참고문헌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