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백
소설 《계백》은 이수광의 이러한 필력으로 더욱 빛이 난다. 1300년 전 백제인들의 삶을 생생하게 복원하여 휴가지에서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손색이 없다. 《무사 백동수》에서 호쾌한 무인의 세계와 함께 영정조 시대의 드라마틱한 역사를 보여준 이수광 작가는 《계백》에서 대제국 백제의 멸망사를 심도 있게 조명하고 있다. 특히 역사적 사실을 바탕에 깔고 유려한 문장으로 계백과 의자왕, 김춘추, 김유신, 연개소문 등 등장인물들을 생생하게 복원하고 있다. 이 책 역시 올여름 서점가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 이수광 1954년 충북 제천에서 태어났다. 198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바람이여 넋이여』가 당선되어 공식적으로 문단에 등단했다. 제14회 삼성문학상 소설부문(도의문화저작상)을, 미스터리클럽 제2회 독자상, 제 10회 한국추리문학 대상을 수상했으며 여러 신문에 연재 소설을 발표했다. 그는 역사 사건을 소설적 구성으로 흥미롭게 풀어 팩션 역사서 붐을 일으켰고, 현재 한국추리작가협회 회장으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단편에『바람이여 넋이여』,『어떤 얼굴』,『그 밤은 길었다』,『버섯구름』 外 다수가 있고, 장편에『나는 조선의 국모다』,『유유한 푸른 하늘아』,『초원의 제국』,『소설 미아리』, 『떠돌이 살인마 해리』,『천년의 향기』,『신의 이제마』,『고려무인시대』,『춘추전국시대』,『신의 편작』,『왕의 여자 개시』,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연애사건』,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살인사건』 등 다수의 저작을 발표했다.
머리말 1. 황산벌의 장수들 2. 임에게 강을 건너지 말라고 하였으나 3. 백제전성시대 4. 천하통일지략 5. 안시성에 부는 피바람 6. 여왕시대 7. 성충이 굶어 죽다. 8. 별이 빛나는 밤에 10. 임이여, 나는 어찌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