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신인간혁명. 30(상)
도다 조세이(戶田城聖)의 뒤를 이어 창가학회 제3대 회장이 된 야마모토 신이치(山本伸一)가 니치렌(日蓮) 대성인 불법(佛法)의 인간주의의 빛을 세계로 넓혀 민중개가를 이루는 준엄한 ‘사제(師弟)의 길’을 그린 대하소설이다.
【대산】
1979년 2월 16일, 인도에서 출발한 야마모토 신이치는 홍콩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신이치는 홍콩중문대학교 마린 부총장과 대화하고, ‘동남아시아 대표자 간담회’에도 참석하는 한편 홍콩총독을 예방(禮訪)한다. 그리고 ‘79홍콩문화제’에 참석한다. 1961년에 지구를 결성한지 불과 18년만에 성대한 문화제를 개최할 정도로 발전한 홍콩의 모습에 신이치는 ‘홍콩에 21세기를 비추는 평화의 등대를 만들었다.’고 실감하며 20일 귀국한다.
일본에서는 젊은 승려들이 학회에 대한 비난중상을 거듭하는 속에, 3월 중순에는 한 부회장이 종문에 대해 경솔한 발언을 한다. 이는 공격의 빌미가 되어, 책임을 추궁하는 화살은 신이치에게 향한다.
종문에서는 신이치가 법화강 총강두에서 사임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단도가 된 탈회자들은 회장직을 사임하라고 요란하게 떠들어 댄다. 신이치는 후계의 흐름을 만들고, 세계 지도자와 대화하는 등 문화·교육의 추진에 힘을 쏟기 위해 회장 교체를 이전부터 생각해왔었다.
그는 학회수뇌회의에서 종문 승려의 불합리한 공격에 마침표를 찍고, 학회원들을 지키기 위해 일체의 책임을 지고 총강두에서 사임하며, 또한 세계광포 신시대의 흐름을 열기 위해 회장에서 사임하기로 결단한다.
4월 24일 현장회(縣長會)에서 회장사임이 발표되며, 연달아 실시된 총무회(總務會)에서 신이치는 명예회장이 되고, 주조 기요시가 제4대 회장에 취임한다. 이 뉴스를 전해들은 학회원들은 크게 놀란다. 신이치는 그날 저녁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다음날 본부간부회에서 참석자 모두를 격려한다,
그러나 이후 그는 자유롭게 회합에 참석해 지도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이는 학회를 지배하려고 획책하는 변호사와 종문 승려들의 음모였다.
5월 3일 ‘일곱개의 종’ 총마무리를 기념하는 본부총회에는 다수의 종문 승려가 참석해, 무겁고 답답한 분위기 속에서 회합이 진행된다.
종료 후 신이치는 자신의 맹세와 제자들을 향한 심정을 ‘대산(大山)’ ‘대앵(大櫻)’ 이라고 휘호한다. 5월 5일에도 가나가와문화회관에서 ‘정의(正義)’ ― 그 오른쪽 아래에는 ‘나 홀로 정의의 깃발 드노라’라고 쓰며 광선유포의 대도를 끝까지 나아가리라 서원한다.
【자복】
제3대 회장을 사임한 신이치는 철저히 동지를 격려하는 대화를 한다. 그리고 세계평화를 향한 흐름을 열기 위해 각국의 대사나 식자들과의 대화에 힘쓴다.
이해 여름 세계 41개 나라 3개 지역의 SGI 맴버 1300명이 일본을 방문한다. 신이치는 가나가와문화회관에서 개최한 국제친선우호 모임과 도쿄도다기념강당에서 개최한 세계평화기원근행회에 SGI회장으로서 참석해 맴버들을 격려한다. 또 나가노현 가루이자와마치에 있는 나가노연수도량을 첫 방문한다.
종문의 압력이 가해지는 속에도, 광선유포의 투쟁은 멈출 수 없었기에, 은사 도다 조세이와 마지막 여름을 보낸, 녹음(綠陰)이 우거진 땅에서 행동을 개시한다. 가정방문·개인지도의 흐름을 일으켜 사쿠시(佐久市), 고모로까지 멀리 발을 뻗친다.
또 기념촬영을 실시하는 등 지혜를 쥐어짜내 전혼을 기울여 불자(佛子)인 동지를 향한 격려를 거듭한다.
80년 1월 시코쿠의 동지 약 800명이 대형 여객선 ‘썬플라워 7호’를 빌려 신이치가 기다리고 있는 가나가와문화회관으로 온다. ‘스승이 행동에 제한을 받으신다면, 제자가 뵈러 가겠다.’라며, 구도의 불꽃을 불태우며 모인 것이다.
2월에는 가고시마현 아마미오섬 지역본부의 여자부 86명이 도쿄 다치카와문화회관에 있던 신이치의 슬하로 모인다. 종문 승려들은 광선유포에 살아가는 창가 사제를 이간질하려고 했지만, 사제 혼의 유대는 어떠한 시련의 열풍에도 결코 끊어지지 않았다. 신이치는 마(魔)의 암운을 단호히 물리치고 다시 한번 창가학회가 광선유포 사제의 길에 맥진할 수 있도록, 1년에 걸친 자복(雌伏)의 때를 보내고 마침내 반전공세를 향해 굳게 결의한다.
저자 : 이케다 다이사쿠(池田大作)
1928년 1월 2일 도쿄 태생. 창가학회 명예회장. 세계적인 불교단체인 국제창가학회(SGI) 회장. 일본 소카대학교, 미국 소카대학교, 소카학원, 민주음악회, 도쿄후지미술관, 동양철학연구소 등을 설립. 평생 동안 평화, 문화, 교육운동에 헌신. 하버드대학교, 모스크바대학교, 베이징대학교, 콜롬비아대학교 등지에서 1970년대부터 32차례의 강연을 했으며, 모스크바대학교, 베이징대학교를 비롯 한국의 경희대학교, 제주대학교, 창원대학교, 경주대학교, 동아대학교 등 세계 390여 개(2020년 10월 기준)가 넘는 대학교에서 명예박사와 명예교수의 칭호를 수여하였다. 한국 화관문화훈장, 프랑스 예술문학훈장, 오스트리아 학술예술 최고훈위영예장 등 세계 24개국 정부에서 국가훈장을 수훈하였으며 UN평화상을 비롯 UN난민 고등판무관 사무소 인도상, 제1회 타고르 평화상, 케냐 구승(口承)문학상, 세계계관시인 칭호 및 세계민중시인 칭호 등 다수의 상과 칭호를 수여 받았다. 세계식자와의 대화는 1,600회가 넘었으며, 그 외 미국, 프랑스, 브라질, 한국의 부산광역시, 강원도, 제주도, 구리시, 경산시, 구미시, 충주시, 춘천시 등 세계 800여 개 도시의 명예시민이기도 하다.(2020년 10월 기준).
주요 저서로는 《인간혁명》(전 12권), 《신·인간혁명》(전 30권), 《여성에게 드리는 100자의행복》, 《인생좌표》, 《명언100선》, 《해피로드》, 《지지않는 청춘》, 대담집 《21세기를 여는 대화》(A·토인비와의 대담), 《21세기를 향한 경종》(A·펫체이와의 대담), 《생명의 세기를 향한 탐구》(L·폴링과의 대담), 《20세기 정신의 교훈》(M·고르바초프와의 대담), 《우주와 지구와 인간》(세레브로프와의 대담), 《동양철학을 말한다》(L·찬드라와의 대담), 《21세기 평화와 종교를 말한다》(하비콕스와의 대담) 《지구평화를 향한 탐구》(로트블랫과의 대담)등 다수. 또한 그의 저작은 세계 50개 언어로 2,000점 이상이 번역 출간되었고, 이 중에는 아동 청소년을 위한 다수의 동화책도 포함되어 있다.
대산(大山)
자복(雌伏)
웅비(雄飛)
효종(曉鐘)<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