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 밥상
최근 많은 사람이 슬로 푸드(Slow Food)와 친환경 음식을 선호하고 내세우지만 『소원 밥상』의 저자 권오분은 음식이 가진 기능 이전에 꼭 거쳐야 하는 과정들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그녀는 작은 음식 하나에도 무조건 마음이 담겨야 한다고 믿으며, 그 말을 몸소 실천하는 아름다운 고집을 가졌다. 먹는 사람의 마음도 중요하지만 어떤 생각으로 만드느냐에 따라 기운과 에너지가 달라지고, 결국 똑같은 음식도 몸에 들어와 달라진다는 뜻이다.
1장 〈나누어 먹는 음식〉에는 어렸을 적에 어머니의 손맛을 느낄 수 있었던 쑥개떡, 중풍을 예방한다는 방풍나물 비빔밥, 봄나물로 만든 국수, 관절에 좋은 골담초꽃으로 만든 샐러드 등 어렸을 적에 사람들과 정서를 나누며 먹었던 음식들을 새롭게 만들고, 함께 음식을 먹는 이의 마음과 건강을 생각하는 몸에 좋은 우리 음식과 그에 얽힌 일상이 기록되어 있다. 2장 〈소원을 담은 음식〉에는 시집가는 딸아이를 위해 꽃묶음을 만들고 싶었던 지은이의 모성애가 드러나는 백합꽃과 상사화 이야기, 몸속의 나쁜 기운을 몰아내는 밥상, 풀또기나무와 보낸 여름 이야기, 토마토 셔벗을 만들게 된 사연, 채소를 갈아 만두피에 색을 넣고 속재료에는 받는 이를 위한 기도까지 담았다고 해서 이름 붙은 기도 만두에 얽힌 사연 등이 있다. 밥상을 통해 건강과 복을 듬뿍 받기를 기원하는 지은이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3장 〈자연이 있는 음식〉에서는 사계절 내내 지은이의 집 마당에 가득했던 들꽃에 얽힌 이야기, 마음이 통하는 벗들과 가을 소풍을 위해 만들어 본 더덕 초밥, 채소를 싫어하는 조카를 위해 만들어 본 호박스테이크 등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계절감이 생생한 글을 통해 우리가 먹는 음식들이 자연의 일부임을 다시금 깨닫게 해준다. 4장 〈그리운 시절의 음식〉에는 지은이가 그리워하는 옛 자연 풍경과 집 안팎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다. 옛 시절에 얽힌 향수를 봄맞이 부침개/무청/민들레 비빔밥/동지팥죽/청둥 호박국 등의 음식으로 풀어내면서 소박한 음식을 나누어 먹는 동안 마음 깊이 소통했던 때를 회상한다.
| 글 머리에 | 소원이 이루어지는 밥상과 꽃묶음을 드립니다
1. mind food _ 나누어 먹는 음식
풀밭 위에서의 식사
쑥개떡을 아시나요?
슬로 푸드가 아닙니다. 이제 마인드 푸드여야 합니다
방풍나물 비빔밥 먹으러 오세요
당신께 뱀딸기와 쑥갓꽃으로 만든 꽃묶음을 드립니다
봄의 기적, 신선초를 드려요
당신 무릎 좋아지라고, 골담초꽃 샐러드
나는 도시락 예찬론자입니다
토끼풀꽃 묶음을 선생님께 드립니다
봄보다 먼저 피는 꽃 복수초
봄나물 국수 뷔페를 좋아합니다
손님맞이 나물 보쌈
땅의 기운 듬뿍 담은 뿌리채소
2. mind food _ 소원을 담은 음식
시집 가는 딸아이를 위해, 백합꽃과 상사화
몸속의 나쁜 기운을 몰아내는 힘이 되기를
이 음식에는 소원이 들어 있어요
풀또기나무를 소개합니다
풀밭에서 먹는 비올라 팬지꽃 초밥
아이들 때문에 토마토 셔벗을 만든 날
실험정신! 오분표 오디 국수
한여름 손님은 염라대왕보다 무섭다고?
블랙 푸드, 가지로 만든 밥
러시아의 초록을 보며 품은 꿈
그 미소를 생각하며 만든 감자 경단
3. mind food _ 자연이 담겨 있는 음식
죽염 도사가 준 수세미
옥잠화 흰꽃과 호박이 어우러진 마당 풍경
늙어도 초록빛인 단호박
우박을 맞은 나의 골목밭 채소들
책도 한 송이 꽃처럼 보이는 가을날의 편지
산국화 향기로 제사를 지냈습니다
꽃으로 잔치를 벌였습니다
식탁에 앉아 바라보는 뒷마당 풍경
호박으로 스테이크를 만들었습니다
더덕으로 초밥 만들어서 소풍 가요
계수나무에서 달고나 향이 납니다
4. mind food _ 그리운 시절의 음식
봄맞이 부치기 한 소당
봄이 숨어 있는 곳은 어디인가
무청처럼 푸르게 사세요
황매화가 핀 마당에서
이 세상을 떠난 언니에게 드리는 민들레 비빔밥
호박죽과 눈 구경하는 서울나들이
우리 골목에 오분 동지팥죽을 돌리는 날
선생님 덕분에 우리 집은 꽃나라가 되었습니다
연말연시, 건강과 행복을 꿰어요
겨울철의 보양식 시래기나물
청둥호박국을 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