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우면 걸어라
『외로우면 걸어라』는 시인으로서 일가를 이룬 저자의 첫 번째 에세이다. 시 전문 잡지 《현대시학》에 2년간 연재했던 글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새로이 꾸몄다. 그 기록은 2년에 한정돼 있을지언정 일주일에 꼭 한 번은 산을 찾을 만큼 산 오르는 것을 즐기는 저자가 걸었을 수많은 길에 대한 애착과 수고로움이 이 책에 녹아 있다. 기나긴 시간 자연과 벗하며 살아온 세월과 자연을 대하는 시인으로서의 마음이 유유자적 여유롭고 편안한 마음을 느끼게 한다. 그가 들려주는 길에 얽힌 이야기, 그리고 길 속에서 만난 사람들, 그들의 인생 이야기가 그의 글과 생생한 사진을 통해 정감 있게 드러난다. 사람들의 발걸음이 만들어낸 길, 그 주변을 두르고 있는 자연. 이 속에서 저자는 길이 곧 문화가 됨을 포착한다.
가장 오래된 옛길 문경 하늘재에 북향으로 서 있는 미륵석불에 얽힌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이야기, 걷기 좋은 흙길이 있는 문경새재, 백범 김구 선생이 마곡사 은거 시절 조국 광복을 위해 고뇌하고 울분을 삭이며 생각에 젖었다는 백범 명상길, 제주의 돌담길이 잘 보존되어 있는 제주 애월읍 하가리 등 저자가 걸었던 길을 독자는 눈으로 밟으며 인물, 역사, 자연이 어우러진 우리의 옛길을 헤아려볼 수 있다. 물 흐르듯 가벼운 발걸음으로 떠나는 옛길 걷기 속에 시 한 편이 절로 떠오른다. 옛길을 지키는 이들과 옛길을 오가는 사람들, 그리고 꽃과 나무, 이름 모를 풀들과 새들의 소리까지 모두 걷는 이에게 벗이 되어준 즐거운 순간을 함께 경험하며 과거와 현재의 경계가 허물어진다.
추천사
책을 펴내며
현세와 내세를 넘나드는 가장 오래된 옛길
문경 하늘재
오대산 상원사 동종이 넘었던 고갯길
영주 죽령
고인돌과 선운사를 잇는 백 리 길
고창 질마재
동백은 생목으로 떨어져 연지에 뜨고
강진 다산초당
선암사에서 송광사 넘는 길
순천 조계산 굴목재
아흔아홉 굽이를 대굴대굴
평창 대관령 옛길
소금 자루 지고 넘던 눈물 고개
지리산 장터목
어머니 가슴처럼 보드랍고 넉넉한 흙길
문경새재
한국의 옛길 역사가 녹아 있는 길
문경 토끼비리
길 위의 길을 걷는다
광주 무등산 옛길
그리우면 물가로 다시 가리
안동 퇴계 오솔길
돌아와 세상을 보니 꿈속 같다
마곡사 백범 명상길
녹두꽃 진 자리에 눈이 쌓이고
담양 금성산성
옛 돌담마을 진짜 제주 올레
제주 애월읍 하가리
길은 내 안으로 나 있었다
수덕사 만공스님길
학을 불러 타고 폭포를 올라볼까
화개에서 불일폭포까지
나를 찾아 문 없는 문 안으로 들다
오대산 옛길
내설악 속살 깊이로 거닐다
백담사 님의 침묵 길
십 리 숲길 지나 일지암에 오르다
대흥사 초의선사 길
비·안개·야생화·한강 발원지
태백 두문동재에서 검룡소
민족의 아픔을 같이한 고개를 넘다
북한산 우이령 길
한번 떠난 그대는 돌아오지 않았다
영월 김삿갓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