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쁘게 울긴 글렀다 - 넘치지 않게, 부족하지 않게 우는 법
“우는 것도 연습이 필요해!”
눈물 수집가가 들려주는
달콤 쌉싸름한 35가지 눈물 이야기
\"어쩌면 눈물점을 갖고 울보로 태어난 자의 숙명일지도 모르겠다. 종종, 그리 뜸하지 않게 주변 사람들의 ‘눈물받이’가 되는 걸 보면.\"
- <프롤로그> 중에서
울지 못하는 어른이 되어버린 이들에게 건네는 위로
고대 로마와 이집트 등지에서는 눈물을 담아두는 ‘눈물병’이 있었다. 그 병에 눈물을 모아 두었다가 병의 주인이 죽으면 함께 묻었다. 그만큼 인간에게 눈물이란 소중히 여겨지는 존재였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눈물을 보이는 걸 부끄럽게 생각한다. 우는 건 약한 거고, 울면 지는 거라고, 그래서 자꾸 눈물을 참게 된다. 그렇게 참다 보니 우는 법을 잊어버린 어른이 돼버렸다. 어릴 적 우리는 우는 것만으로도 의사소통을 했고, 눈물은 우리의 또 다른 언어였는데 말이다.
때론 눈물이 말보다 더 많은 걸 얘기한다. 말로는 다 할 수 없는 얘기를 눈물이 대신 전해주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우는 연습을 해야 하는 건지도, 눈물이 하는 얘기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건지도 모른다. 쉽게 꺼낼 수 없는 내 마음 속 솔직한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이제는 눈물에 귀 기울일 시간!
이 책 《예쁘게 울긴 글렀다》의 저자는 잡지 기자로 활동하며 인터뷰 등을 통해, 라디오와 팟캐스트에서 연애상담을 하며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함께 울었다. 그들의 눈물을 들어주고 함께 울다 보니 누군가의 눈물이 전하려는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렇게 수집해온 이야기를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신사역 한복판에서 울고 있던 여자의 사연, 그 남자가 다시는 울지 않기로 다짐했던 이유, 화장실 변기에 앉아 고양이와 함께 울었던 이야기, 이별을 앞두고 눈물이 말라버린 여자, 딸의 수술실 앞에서 쏟아낸 아버지의 눈물 등등. 일상에서 마주친 눈물의 순간들을 때론 뭉클하게, 때론 담담하게 풀어냈다.
이 이야기들이 내게 와 위로가 되는 건 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은,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우리’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남 얘기 같지 않은 순간들에 이끌려 책을 읽다보면 말보다 많은 걸 전해주는 눈물에 위로 받고, 또 귀 기울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1982년생. 상수동 주민.
<나일론>, <보그 걸>, <코스모폴리탄>에서 피처 에디터로 일했고, 퇴사 후엔 팟캐스트와 라디오에서 연애 상담을 했다. 말하는 걸 보면 세상 뻔뻔한데, 쓴 걸 보면 세상 찌질하다. 글쓰기에 천부적인 재능이 없어 엉덩이 힘으로 버티고 있다.
서른여덟 살 새해 목표는 무해하게 웃기기와 면먹고 남은 국물에 밥 말지 않기. 물론 잘 못 지키고 있다.
프롤로그 _ 눈 아래 점 때문이라고 했다
1장. 천 마디 말이 모여 한 방울 눈물이 된다
여기서 우시면 안 돼요
눈물 따위 엿이나 먹어라
아무리 슬퍼도 배는 꺼진다
대낮에 한 이별
슬픔은 나의 힘
식겁의 쓴맛
빌어먹을, 피클 통 뚜껑
어느 날, 공황이 찾아왔다
내 남자 친구를 소개합니다
2장. 우는 것도 연습이 필요해
그렇게 아빠가 된다
실연한 여자와 발정 난 고양이
내가 좀 울어봐서 아는데
이 눈물은 모른 척 해주세요
우리, 정신과나 갈까?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눈물도 가끔은 달았으면 좋겠어
나만 상처받은 줄 알았다
그 남자가 처음 울던 날
3장. 예쁘게 울긴 글렀다
난 네가 혼자 우는 게 싫어
근데, 너 괜찮아?
그날의 마로니에 공원 _
해녀의 숨
신부가 넘어야 할 ‘눈물 언덕’
아파요 선생님
그렇게 아버지도 운다
집 밥이 그리워질 때
위대한 껌딱지들
4장. 눈물엔 눈물만 한 위로가 없다
너에겐 다른 남자가 필요해
달 보러 가자
수고했어, 오늘도
도대체 왜 우는 거야
울음 반, 웃음 반의 장례식장
디어 마이 시스터, 디어 마이 브라더
상처엔 상처로
웃지 말고 들어봐
김가혜 지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