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학 (2판)
한국은 1979년도에 4년제 보건학과가 처음 설립된 이후 30년이 지난 현재는 30여 개의 보건 관련 학과가 탄생했고, 그간 정부 정책으로 전 국민에게 건강보험제도와 의약분업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시행 중에 있는 등, 보건 분야에 커다란 변화가 있어 왔다.
특히, 1995년도에는 국민건강증진법이 제정되면서 다양한 건강증진사업이 시행될 수 있는 법적인 기반이 조성되었고, 보건학계의 꾸준한 노력으로 2010년 3월에 보건교육사 국가고시가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이에 보건학에 대한 개념을 새로운 방향에서 제시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교육방법론>,<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학>등 저자
제Ⅰ편 보건학의 이해
제1장 보건학의 이해
제2장 인구와 보건
제3장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제Ⅱ편 보건관리
제4장 보건관리와 제도
제5장 의료보장과 장기요양관리
제6장 보건의료조직관리
제7장 학교보건
제Ⅲ편 역학 및 보건통계
제8장 역학
제9장 보건통계
제10장 질병예방 및 관리
제Ⅳ편 환경·산업보건
제11장 환경보건
제12장 환경오염 관리
제13장 식품위생
제14장 산업보건
제15장 안전관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