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과 건강
1976년 미국의 보건교육후생성은 개인의 건강을 결정하는 요인은 그 수를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크게 유전적 요인(20%), 개인의 식생활 습관요인(52%), 의료서비스요인(8%), 보건정책 등으로 구분하였다.
즉, 여러 요인 중에서 식생활습관이 건강결정요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제일 높다는 것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체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음식섭취와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현재 중부대학교 한방건강관리학과 교수
대한보건교육사회 회장(국가고시 보건교육사 단체)
학력 원광대 한의학박사과정 수학
대구한의대 보건학박사 취득
경력 경기대 대체의학대학원 겸임교수, 논문지도교수, 논문심사위원장 및 심사위원
중국 요녕중의약대학 객좌교수
EBS 피부미용사 공중위생관리학 강의교수
남서울대 보건의료개발연구소 연구위원
대한보건한의학회 기획위원장
보건복지부 보건복지 옴부즈만
식약처 한약등 약물부작용 전문가 위원
대한한약협회 정책위원장
2010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 자문위원
2013 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 조직위원
고용노동부 내일배움카드제 실내공기질관리사 강사
저서 한방미용학의 이해, EBS 피부미용사 공중위생관리학, 초등학교 보건교과서,
공중보건학, 보건교육학, 실내공기질 관리학 등 다수
제1장 건강과 질병
제2장 식품위생과 보건영양
제3장 건강기능식품
제4장 피부미용과 건강
제5장 질환별 식생활
제6장 건강과 운동
부록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목표와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