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보건사업관리 (2판)
우리나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전 국민에게 의료서비스를 보장하는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노령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고 노령인구에 대한 의료비 지출과다로 건강보험재정에 큰 부담을 안게 되었다.
한편 국민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국민의료비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노령인구의 증가추세에 따른 만성퇴행성질환이 급성전염성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2008년도 건강보험환자 전체 진료비 중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주요 만성질환이 차지하는 진료비가 16%를 상회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만성질환 등 고비용 의료수요행태에 따른 국민건강보험재정의 부담을 덜고 국민의 건강실천을 도모하기 위해 1995년 1월 정부는 국민건강증진법을 제정하게 되었고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식이, 운동, 생활습관 개선 등을 담은 보건사업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 또한 일선 보건소를 중심으로 국민보건교육을 강화하고 이를 전담하기 위한 보건교육사의 국가자격증도 신설하게 되었다.
서울대학교 보건학박사
서울대학교 보건학석사
보건복지부 사무관(5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임연구원
경기도 보건직공무원 시험위원
충청남도 공무원 시험위원
대전광역시 교육청 시험위원
서울특별시 교육청 시험위원
서울특별시 5급승진 시험위원
의무기록사시험 문항개발 위원
병원행정사, 의료보험사 시험위원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경원대학교, 삼육대학교 등 강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한국알코올과학회 이사
저서 : 『보건행정학』, 『보건의사소통』, 『병원경영학』, 『공중보건학』, 『병원인사관리』 등 다수
현재 : 한양여자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
PART 1 보건사업관리의 이해
PART 2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PART 3 보건사업조직의 관리와 자원관리
PART 4 보건사업의 운영체계
PART 5 보건정책과 보건기획
PART 6 보건사업의 실제
PART 7 건강증진사업과 보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