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평가 이렇게 대비한다 - 나의 열정 나의 변화
역량평가 최고 전문 컨설턴트들이 제시하는
평가 대비책과 노하우 그리고 고득점 비결
현재 시중에는 평가자를 위한 역량평가 안내서 몇 종이 나와 있을 뿐 정작 평가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을 위한 역량평가 준비서는 전무하다시피하다. 그런 가운데 두 역량평가 전문가들이 의기투합하여 수험생을 위한 역량평가에 체계적?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책을 펴냈다.
역량평가는, 어렸을 적부터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을 할 때까지 내내 정답을 찾는 암기 위주의 교육과 평가만 받아온 수험생들에게는 어려울 수밖에 없어 친절한 길잡이가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전문 컨설턴트들이 수험생을 위한 책을 내놓지 않은 것은 자신만의 노하우 노출을 꺼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안경섭·진선미 두 전문가는 이런 현실을 안타깝게 여겨 자신들의 노하우를 이 책을 통해 모두 풀어놓기로 한 것이다.
역량평가는 다양한 상황(시나리오)을 주고 응시자가 보이는 구체적인 행동 즉 사고력, 분석력, 의사결정능력, 의사소통능력, 조정통합능력 등을 보고서와 인터뷰 그리고 토론 형식으로 평가한다. 그런데 승진을 앞둔 사람들마저도 대부분 자신의 업무영역에서는 식견과 경험이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역량평가를 어려워하고 당황하기는 마찬가지다. 기존의 업무방식에 길들여져서 역량평가에서 요구하는 역량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을 뿐더러 역량평가에서는 대개 자신의 업무영역이나 전문성과는 동떨어진 시나리오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준비 없이 평가에 임했다가는 당황하게 되어 자신의 잠재력과 역량을 보여주기 어렵다. 역량을 보여주기는커녕 도대체 문제가 무엇을 요구하는지도 파악하지 못한 채로 평가를 마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역량평가를 대하는 수험생들은 대개 기존의 방식과 달라도 너무 달라서 역량평가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모르겠다, 수험생을 위한 역량평가 준비서가 거의 없다, 평가자가 무엇으로 어떻게 응시자를 평가하는지 그리고 고득점을 위해 무엇에 주안점을 두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자료가 충분히 않다는 등의 어려움과 불만을 토로한다.
따라서 이 책은 이런 점들을 염두에 두고 수험생들이 역량평가를 충분히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구성했다. 1장에서는 역량의 의미와 역량평가의 의의를 이해하고 ‘나의 현재 역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했다. 2장에서는 역량평가의 특성과 평가 실시 추세, 평가 대상자가 되었을 경우 해야 할 일들, 역량평가의 핵심 포인트 등을 기술했다. 3∼6장은 본론으로 인바스켓, 역할연기, 프레젠테이션, 그룹토론을 다루었다. 7장은 ‘높은 평점을 받기 위한 전략’으로 고득점 비결과 평가자를 감동시키는 법을 다뤘다.
애리조나 주립대학교(학사), 메릴랜드 주립대학교(석사)를 졸업했다. 삼성SDS 컨설팅 사업부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브레인러닝센터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여는 글
01 ‘역량’이란 무엇인가
02 역량평가 워밍업
03 인바스켓 뛰어넘기
04 역할연기 통과하기
05 프레젠테이션 업어치기
06 그룹토론 살아남기
07 높은 평점을 받기 위한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