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과 함께하는 법률여행
법과 인권, 자유, 평등을 주제로 삼고 있고, 뒤이어 나올 책에서는 평화의 법리에 까지 도달하고자 한다. 법은 너와 나의 자유와 평등에 머물러서는 아니된다. 너와 내가 우리로 될 수 있을 때 진정한 평화가 있기 때문이다. 너와 내가 서로의 자유와 평등만을 고집하면 자칫 대립으로 발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힘의 대결로 나타날 때에는 폭력과 전쟁으로 비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세계는 1, 2차의 세계대전과 냉전시대를 극복하고 화해와 평화의 시대로 옮겨가고 있으나 오직 한반도만은 냉전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남과 북은 하나가 되어야 한다. 통일이 될 때 전쟁의 법리는 사라지고 평화의 법리가 지배하게 된다. 서울의 정의가 평양에서 더 이상 부정의가 되어서는 아니된다. 우리는 원래 둘이 아니고 하나였지 않은가. 동강난 태백산맥(백두대간)을 이어 나가자.
정의의 여신
헌법의 정신
헌법은 장식품인가?
제1부 법과 재판제도의 근원적 모순과 인간의 존엄
부 활(復活: Resurrection)
레프 톨스토이(1828~1910)
부활 작품해설
부활 줄거리
카추샤의 소송
부활 법적 이해
제2부 왜곡된 한국현대사와 법치주의의 타락
태백산맥(1994)
태백산맥 작품해설
태백산맥 줄거리
태백산맥 법적 이해
법치주의 타락과 법학도의 사명
백두대간과 한국법사상(人本主義와 自然法思想))의 부활
'新 대동여지도'를 만들자
제3부 힘의 질서에서 법치주의로
리버티 밸런스를 손 사나이(The Man Who Shot Liberty Valance, 1962)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 작품해설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 줄거리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 법적 이해
제4부 법 앞의 평등
PHILADELPHIA(1993)
PHILADELPHIA 작품해설
PHILADELPHIA 줄거리
PHILADELPHIA 법적 이해
우리나라에서의 실정법상의 문제점
후천성 면역결핍증 예방을 위한 법률
맺음말
피고인(THE ACCUSED)
해설
피고인 줄거리
피고인 법적 이해
참고 작품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작품해설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줄거리
사건개요
소송의 전개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법적 이해
법은 보호할 가치가 있는 정조만을 보호하는가
성폭력에 관하여
형사사건에 대한 법률상식 몇 가지
미란다 원칙
형사사건의 처리절차
범죄의 성립과 정당방위
고소에 관한 법률상식
제5부 인권과 자유
쇼생크 탈출
쇼생크 탈출 작품해설
쇼생크 탈출 줄거리
쇼생크 탈출 법적 이해
제6부 가정생활에 있어서 인간의 '존엄'과 '평등'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작품해설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줄거리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법적 이해
어떻게 하면 혼인을 안정시킬 수 있는가?
이혼에 관한 법률상식
협의이혼
재판이혼
이혼의 효과
개정 가족법과 남녀평등
전환기의 한국 가족
1990년 개정가족법의 주요내용
2005년 개정가족법의 주요내용
한국가족법의 과제
가족과 가족법의 변화
한국 가족법의 역사적 배경
현대 구미 가족법의 특징
가사분쟁의 해결
제7부 법조인의 사명과 역할
존 그리샴(John Grisham)
Grisham's Law
법과 문학
의뢰인(THE CLIENT)
주요 등장인물
의뢰인 작품해설
의뢰인 줄거리
의뢰인 법적 이해
야망의 함정(THE FIRM)
야망의 함정 작품해설
야망의 함정 줄거리
야망의 함정 법적 이해
하버드 법과대학
우리나라 법학교육의 문제점
펠리컨 브리프
펠리컨 브리프 작품해설
펠리컨 브리프 줄거리
펠리컨 브리프 법적 이해
미국의 법체계와 권력조직
미국의 연방법원제도
미국의 행정체제
미국의 연방제
배심제도
미국대법원의 성격
미국대법원의 힘
미국법의 특징
미국헌법
CIA(중앙정보국, Central Intelligence Agency)
FBI(연방수사국, Federal Burean of Investigation)
환경과 법률에 대한 새로운 조명
법사상의 대전환이 요구되는 시점
환경범죄 및 형벌관이 바뀌어야 한다
시민들의 환경의무
환경을 지키기 위한 국제공조체제와 U.R(G.R)
자연을 존중하는 우리 나라의 전통사상 내지는 자연과 합일하는 동양적 법사상을 활용할 수는 없는가?
환경권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부록
민사소송절차
형사소송절차
법치주의와 양시론(兩是論)·양비론(兩非論)
추천할 만한 법률영화
법정영화를 통해 법을 이해하는 요령 몇 가지(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