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소개되고 있는 이론들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는 학생들이나 일반인들이 관련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매스미디어가 사회적으로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효과나, 수용자들이 매스미디어로부터 받는 다양한 영향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준거틀을 제공해 준다.
가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와 청운대학교 방송영상산업학과에 재직했으며,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등의 이사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방송정책 이론과 방법론』(2007), 『한국의 지상파방송사 경영 전략』(2006, 공저), 『세계의 지상파방송사 경영 전략』(2006, 공저),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2005, 공저), 『현대 매스미디어의 이해』(2004,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영국의 디지털 전환 과정을 다룬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가는 길』(2008)이 있다. 그 밖에 “디지털 전환정책에 대한 형성평가분석”(2008), “MMS와 디지털공익성”(2007), “한미FTA가 미디어 시장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2006), “방송시장에서의 공정경쟁 기본원칙과 불공정거래 행위분석”(2004), “방송기술정책결정요인 연구: 지상파DTV를 중심으로”(2003), “1990년 이후 방송사업자 인허가정책에 대한 평가”(2002) 등 방송정책 관련 다수의 논문을 썼다.
커뮤니케이션 이해를 돕는 이론들
01 미디어 결정론
02 이용과 충족 이론
03 미디어 의존 이론
04 의제 설정 이론
05 배양 이론
06 문화 연구
07 침묵의 나선 이론
08 틀짓기 이론
09 뉴미디어의 이용과 채택 이론
10 정보 격차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