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진화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PR커뮤니케이션이 선전 활동이라는 오해로부터 어떻게 이론적인 정체성을 세우기 위해 노력해 왔는가를 한 눈에 보여준다. 최초의 PR커뮤니케이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PR4 모델 논의와 함께 우수 이론, 공중-관계성 이론 등과 같은 주류 이론의 발전과정과 상황위기커뮤니케이션 이론 등과 같은 세부 실행 차원의 이론들을 모두 소개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이론 패러다임의 수용을 통한 수사 이론과 비판 이론의 발전을 살펴보고, 미디어 환경과 사회 맥락의 변화에 따른 담론경쟁 이론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조명한다.
고향은 경남 김해지만 부산에서 토성중과 배정고를 나왔다. 1977년 서울대에 입학해 학부에선 경영학을, 석ㆍ박사 과정에서는 경제학을 공부했다.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이래 줄곧 경제기자 생활을 하고 있다. 경제담당 논설위원을 지냈으며 지금은 경제전문기자로 일하고 있다. 논문으로「독과점이 경기변동에 미치는 영향」,「A. D. 챈들러의 기업사관으로 본 한국 4대재벌의 비교 분석」,「한국재벌 통제조직의 비교 연구: 삼성ㆍ현대를 중심으로」등이 있다.
PR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와 이론적 해결
01 PR4 모델
02 우수 이론
03 상황결정 이론
04 조직-공중관계성 이론
05 상황 이론
06 상황별 위기커뮤니케이션 이론
07 윤리적인 의사결정 실행 이론
08 수사 이론
09 비판 이론
10 담론경쟁 이론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