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소년의 비애 : 한국문학을 권하다 01 이광수 중단편선집

소년의 비애 : 한국문학을 권하다 01 이광수 중단편선집

저자
이광수
출판사
애플북스
출판일
2014-09-26
등록일
2015-01-29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1KB
공급사
우리전자책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밤을 새워 춘원의 작품을 읽고 난 뒤
가슴이 설레어 잠도 잘 수 없었다.” _소설가 고정욱

시대의 아픔과 사랑을 탁월한 심리묘사로 담아내
문학의 대중화를 꽃피운 춘원 이광수의 대표작 모음!
고정욱 작가가 이광수의 작품을 추억하는 추천글 수록

〈한국문학을 권하다 시리즈〉는 누구나 제목 정도는 알고 있으나 대개는 읽지 않은, 위대한 한국문학을 즐겁게 소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즐겁고 친절한 전집’을 위해 총서 각 권에는 현재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10명의 작가들이 “내 생애 첫 한국문학”이라는 주제로 쓴 각 작품에 대한 인상기, 혹은 기성작가를 추억하며 쓴 오마주 작품을 어려운 해설 대신 수록하였고, 오래전에 절판되어 현재 단행본으로는 만날 수 없는 작품들까지도 발굴해 묶어 국내 한국문학 총서 중 최다 작품을 수록하였다. 한국문학을 권하다 《소년의 비애》에는 작가 고정욱이 청소년 시기에 이광수의 작품을 읽었을 때 느꼈던 당시의 경험과 감동을 글로 담아 한국문학을 즐겁게 소개하고 있다.
춘원 이광수는 육당 최남선, 벽초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천재 문인으로 꼽힌다. 당시 문인으로서의 그의 인기는 단연 톱에 들었고 그의 문학작품은 늘 베스트셀러였다. 주목받았던 작품이 장편소설이다 보니 단편소설은 그에 비해 주목을 덜 받았다. 하지만 춘원의 단편소설은 당시로서는 선구적이며 가장 현대적이고 참신한 문장이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광수 중단편전집 《소년의 비애》는 사회 현실에 대응하는 젊은 지식인들의 내면세계를 그려낸 이광수 작품의 모태가 되었던 중단편소설 총 15편을 수록했다. 우리말로 쓴 최초의 단편소설 〈무정〉을 포함해 〈어린 희생〉〈소년의 비애〉〈어린 벗에게〉〈방황〉〈가실〉〈거룩한 죽음〉〈어린 영혼〉〈사랑에 주렸던 이들〉〈떡덩이 영감〉〈무명씨전〉〈모르는 여인〉〈나〉〈육장기〉〈영당 할머니〉 등이다. 특히 이번 선집에서는 작가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구성하면서도 그동안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수작들도 수집해 다양하게 실어 이광수 문학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출간 의의 및 특징

이광수 중단편선집 《소년의 비애》는 낡은 사회적 관습과 불합리한 제도 속에서 문학의 계몽적 역할을 부르짖었던 이광수의 작품세계가 드러나는 작품과 사회현실에 대응하는 젊은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그려낸 자전적 소설들로 구성하였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불우한 유년 시절을 보냈던 이광수의 깊은 외로움과 회한 등을 엿볼 수 있는 작품에서부터 부르주아 계몽주의 입장에서 자유결혼 및 근대적 자아 각성을 통해 전통적 인습과 윤리를 반대하고, 신교육, 신문명을 통한 자강주의를 주장한 작품들에 이르기까지 춘원 이광수의 편린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애플북스의 〈한국문학을 권하다 시리즈〉는 그동안 전체 원고가 아닌 편집본으로 출간되었거나 잡지에만 소개되어 단행본으로 출간된 적 없는 작품들까지 최대한 모아 총서로 묶었다. 현재 발간된 한국문학 전집 중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수록한 전집이라 하겠다. 종이책은 물론 전자책으로도 함께 제작되어 각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대학교의 도서관은 물론 기업 자료실에도 꼭 필요한 책이다.

내용 소개

〈무정〉은 나이 어린 신랑을 남편으로 둔 한 여인이 느끼는 고독과 적막감 그리고 애정의 기갈에 비탄을 거듭하다 오입쟁이가 된 남편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한 여인의 일대기를 보여줌으로써 전근대적인 혼인제도와 비정상적인 가족 관계가 가져오는 비극적 상황을 통해 당시의 낡은 가치관을 비판하고 혼인 풍습에 대한 계몽적 요소를 깊이 담았다.
혼인 제도를 비롯해 당시 사회의 인습과 제도에 대한 비판을 담은 또 다른 작품 〈소년의 비애〉 역시 사랑스럽고 얌전하고 재주 있는 사촌 여동생 난수가 어느 부호의 아들과의 약혼 후 그 신랑될 이가 천치라는 것을 알고 파혼할 것을 제안하는 나의 심정과 사촌 누이에 대한 애닮은 마음을 그리고 있다. ‘코와 침을 흘리고 지랄을 하는 천치’를 신랑으로 맞이해야 하는 사촌 누이의 상황을 통해 당사자의 의사를 무시하고 치러지는 혼인의 풍습과, 양반의 체면치레 때문에 한 여인의 삶이 파탄에 이르는 모습의 내용은 당시 사회의 인습과 제도에 대한 비판을 알리는 시작이 되었다.
특히 춘원 이광수가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서 쓴 자전적 이야기 〈나〉를 비롯해 우리나라 최초로 서간문 형태를 취한 소설 〈어린 벗에게〉, 일찍 여읜 여동생에 대한 애도의 심정을 표현한 〈어린 희생〉, 지식인의 내면적 갈등과 자아 탐구의 과정에 치중한 〈방황〉 등은 모두 이광수의 사적 경험을 통해 인간적 고뇌와 자기 정체성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
이 외에도 신라 시대의 설화 ‘설씨녀’를 소재로 삼아 쓴 〈가실〉과 동학 창시자였던 최제우를 모티브로 삼은 소설〈거룩한 죽음〉은 1920년대 사회적 급변화의 물살 속에서 우회적으로 작가의식을 표출한 작품이다.
초기 이광수의 민족의식이 엿보이는 작품 〈어린 희생〉과 애국지사 추정 이갑을 소재로 한 〈무명씨전〉, 거의 주목받지 못한 인물을 오히려 큰일을 한 사람으로 묘사한 〈떡덩이 영감〉에서부터 친일로의 전향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음을 호소하는 작품 〈육장기〉, 서로 이질적인 두 노인에 빗대 조국 해방 이후 화합과 평화를 도모하기를 역설했던 〈영당 할머니〉에 이르기까지 도덕적 신념을 가지고 활동했던 이광수가 결국 친일작가로 변절하기까지의 일대기를 보는 듯하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