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지금 이럴 때가 아닌데 - 자립과 의존의 심리학
긍정적 삶의 기술과 통찰을 이끌어낸 에리히 프롬의 이론과
와세다 대학 심리학과 교수 가토 다이조의 만남.
마음의 성장을 이끄는 자립의 순간,
당신을 짓누르던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다.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수용하는 일은 현대인의 화두
현대 산업사회 속에서 자신의 존재성을 잃어버린 사람들은 자기를 왜소화함으로써 자립을 거부하고 타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한다. 자기 안에 있는 열등감과 불안, 무력감을 은폐하기 위해 권력, 재산, 명성과 같은 강력한 권위에 의탁하며 삶의 모든 에너지를 소진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의존 심리는 집착증, 완벽주의, 착한아이 증후군, 의존적 성격장애, 결정 장애 등으로 나타난다.
아래의 증상이 자신에게 있는지 체크해 보자.
-일상적인 일도 다른 사람에게 여러 번 조언을 구하지 않으면 결정하지 못한다.
-자기 생활의 중요한 영역을 남에게 책임지게 한다.
-지지와 인정을 받지 못할까 봐 남의 의견에 반대 의사를 표현하지 못한다.
-자기 생각을 계획으로 세우거나 실행하기 어렵다.
-남에게 사랑받기 위해 불쾌한 일까지도 자원해서 한다.
-스스로를 돌볼 수 없다는 공포 때문에 불안해하거나 무기력해진다.
-자기를 돌보아줄 버팀목이 될 만한 대상을 다급하게 찾는다.
물론 다른 사람의 도움 같은 건 받지 않고 혼자 힘으로 살아왔다는 과도한 자주성도 역시 의존 심리에서 기인한다. 사랑이나 충성, 숭고한 이념, 헌신의 양태로 마음의 지주를 세우는 것도 자학적 의존의 한 양태다.
이에 저자는 독립과 자유를 거부하고 의존하려는 심리, 내면의 결핍을 인정하지 않고 다른 대상에 의탁하거나 보상받으려는 심리를 인지하고, 진정한 마음의 지주를 찾을 것을 강조한다. 내 안의 의존 심리를 인정하는 순간 있는 그대로의 나를 수용하고 자기 정체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자각 없이는 앞으로 한 걸음도 나갈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행복하려고 태어났는데 불안과 의존, 눈치 보기로 시간을 다 보낸다면 얼마나 안타까운가.
현대인의 심리적 압박과 고립, 퇴행성은 의존의 문제
에리히 프롬은 현대인을 사로잡고 있는 고민과 불안들이 모두 마음속에 자리한 ‘의존 심리’에 기인한다고 말한다. 근친상간적 애착의 결핍으로 인해 인간은 의존할 대상을 필요로 하며 그 집착적인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한다는 것이다. 프로이트에 이어 칼 융, 알프레드 아들러와 함께 후기 정신분석학파의 새로운 지평을 연 에리히 프롬의 이론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현대인들의 과도한 타인 의존성(어떻게든 인정받으려고 하는)이 자신의 존재를 왜곡하는 현상을 더욱 부추기기 때문이다.
일본 와세다 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일본 정신위생학회 고문인 가토 다이조는, 후기 정신분석학파의 다각적인 정신분석 이론을 토대로 현대 사회에서의 개인의 심리적 압박과 고립, 퇴행을 심층적으로 연구해 왔다. 저자가 에리히 프롬이 말한 의존 심리에 특히 주목하는 것도 현대의 불안 요소, 폭력적 형태, 자기 부재와 같은 심리적 현상이 사회 문제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내가 지금 이럴 때가 아닌데》에서는 에리히 프롬이 말한 근친상간적 애착의 결핍이 불러온 직접적이면서도 간적접인 다양한 양상의 의존 심리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있는 그대로의 자기를 수용하고 불안을 이겨낼 수 있는 마음의 지주를 세우는 일은 곧 자기를 세우고 건강하게 자립하는 길임을 밝히고, 독립적 인간으로 행복을 찾는 길을 단계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내가 지금 이럴 때가 아닌데》에 실린 그림은 나무를 태운 사리인 목탄으로 달빛과 응달에 대한 그늘과 그림자를 추적하며 음을 예찬하는 이재삼 화백의 그림이다. ‘현대contemporary가 원하는 그림’이 아닌 ‘현재present가 간과하고 있는 그림’으로 그리기의 지향점을 세우고 있기에 책의 내용에 깊이를 더해준다.
나를 나로서 살게 하는 마음의 지주
평소 성실한 성격이고 일을 열심히 하는 사람일지라도 ‘마음의 지주’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사람은 항상 초조해한다. 아름다운 경치를 보면서도 “내가 지금 이럴 때가 아닌데…….” 하고 안절부절못한다. 피곤해하면서도 마음을 놓고 편안히 쉬지 못한다. 이런 사람들의 마음을 지탱해 주는 것은 무엇일까? 실적이 마음을 지탱하고 있다면 실적을 올리는 데에만 집착할 것이다. 돈에 마음을 지탱하고 있다면 돈에 목숨을 건다. 돈이 없으면 삶 자체가 부질없는 것이라 판단한다. 마음의 지주를 내면에 세우지 않고 외부세계에 의존하려 하기 때문에 시련을 만나면 마음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것이다.
자신의 성을 지상에 구축하려는 사람은 불행하지만 마음에 구축하려는 사람은 행복하다. 마음속에 자신의 성을 구축한 사람은 어떤 시련과 변화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마음은 다른 사람들의 평가로 지탱되는 것이 아니다. 남의 눈을 잠깐 속이는 방식으로는 인생의 시련을 극복할 수 없다. 인생을 살아가는 데에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내 스스로를 든든히 받쳐주는 ‘마음의 지주’다. 마음의 지주가 있는 사람은 현재 상태에 집중하는 삶을 살아가고,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또 열등감으로 비관하기보다는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는 데에서 삶의 의미를 가진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의지가 있기 때문에 회피하거나 속이려 들지 않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줄도 안다. 나르시시스트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도 관심을 가지고 사랑할 줄 안다.
자, 나는 마음의 지주가 바로 세워진 사람인가, 잘못된 지주를 붙잡고 삶의 기운을 소진하는 사람인가? 이 책을 통해 행복한 하루하루를 맞이하기 위한 자신만의 마음의 지주를 꼭 발견하기를 바란다.
1938년 도쿄 출생으로, 도쿄 대학 교양학부 교양학과를 졸업했다. 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석사과정을 수료했고, 1973년 이후 하버드 대학 라이샤워연구소 준연구원을 역임했다. 지금은 와세다 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일본 정신위생학회 고문이다. 라디오 방송에서 ‘전화 인생 상담’이라는 코너를 맡아 진행하는 등 다양한 활동으로 일본 교육학계를 이끌고 있다. 저서로는 《열등감을 자신감으로 바꾸는 심리학》 《인생의 무게를 가볍게 하는 심리학》 《대학생활 어떻게 할까》 《아이에게 자신감을 주는 말 상처를 주는 말》 《아메리카 인디언의 가르침》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사람》 《마음 정리하기 연습》 《마음에 휴식을 주는 방법》 《불안감을 가라앉히는 방법》 《누구에게나 친절한 사람》 등이 있다.
저자소개
들어가는 글
프롤로그 마음의 지주가 없으면 살 수 없다
1장 나는 왜 자립하지 못하는가
2장 의존하려는 마음, 두려워하는 마음
3장 원점을 직시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4장 미움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5장 나만의 정체성과 마음의 지주
6장 단련된 마음과 자립의 순간
7장 나는 나로서 살아간다
마치고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