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개론 (워크북 포함)
사회복지는 공동체 구성원의 안녕상태(well-being)를 의미한다. 사회복지학은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철학과 이념)과 실천(제도, 정책, 실천전략)을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 그런데 사회복지를 위한 철학은 사람과 집단 그리고 국가에 따라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선별주의는 취약계층만을 대상으로 최소한의 사회적 급여를 제공해야 한다고 보는 반면에, 보편주의는 국가가 일반시민에게 국민최저선(national minimum)을 보장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상이한 철학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와 방법도 다를 수밖에 없다. 이렇게 사회복지의 상이한 철학과 제도 그리고 실천방법에 대한 논의가 사회복지학에서 다루어진다.
더 나아가 사회복지는 자본주의라는 생산양식에서 작동하고 있다. 즉 사회복지는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모순, 예를 들어 독점, 불평등, 빈곤 등에 대응한다. 그 대응 방식은 상이한 사회복지 철학에 따라, 그리고 국가에 따라 매우 다르다. 이런 점에서 사회복지학은 자본주의와 자본주의 국가를 다루어야 한다.
<사회복지개론 (워크북 포함)>공저
학습안내
제1부 관점 : 사회복지와 자본주의
제1장 사회복지 : 사회적 위험과 권리의 정치
제2장 사회복지와 자본주의 : 쇼핑몰과 공동체
제3장 사회복지와 철학 : 상이한 철학과 다양한 사회복지
제2부 원리 : 사회복지, 정치 그리고 국가
제4장 사회복지와 정치 : 탈상품화의 정치와 조세 정치
제5장 사회복지와 정책 : 상이한 정책의 집과 서로 다른 가족살이
제6장 사회복지와 세력 : 조직된 시민들의 자기 보호
제7장 사회복지와 국가 : 상이한 유형과 복지의식
제3부 운영 : 사회복지의 제도와 실천
제8장 사회복지의 구조
제9장 사회복지의 제도
제10장 사회복지의 분야
제11장 사회복지의 실천과 기술
제4부 한국 : 사회복지의 현실과 전망
제12장 한국의 복지 정치 : 이념, 정책 그리고 세력
제13장 한국의 사회복지, 조직된 시민, 그리고 노동정치
제14장 사회복지사 : 사회적 위험에 맞서는 사람들
제15장 복지국가의 위기와 전망
참고문헌
워크북
학습안내
제1강 사회복지: 사회적 위험과 권리의 정치
제2강 사회복지와 자본주의: 쇼핑몰과 공동체
제3강 사회복지와 철학: 상이한 철학과 다양한 사회복지
제4강 사회복지와 정치: 탈상품화의 정치와 조세 정치
제5강 사회복지와 정책: 상이한 정책의 집과 서로 다른 가족살이
제6강 사회복지와 세력: 조직된 시민들의 자기 보호
제7강 사회복지와 국가: 상이한 유형과 복지의식
제8강 사회복지의 구조
제9강 사회복지의 제도
제10강 사회복지의 분야
제11강 사회복지의 실천과 기술
제12강 한국의 복지 정치: 이념, 정책 그리고 세력
제13강 한국의 사회복지, 조직된 시민 그리고 노동 정치
제14강 사회복지사: 사회적 위험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
제15강 복지국가의 위기와 전망
유범상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