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이 보이지 않는 상황을 견디는 힘 - 불확실성을 이기는 비밀, 소극적 수용력
인생의 수많은 문제와 고민 앞에서
버티는 힘이 생겼다!
불확실한 세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위한 처방전,
멈추고, 지켜보라(stay and watch)!
일거리가 끊겨 수입이 없어지면서 불안과 불면에 시달리는 70대 남성, 끊임없이 잔소리를 쏟아내는 시어머니와 함께 살면서 하루 종일 가사에 시달리는 50대 주부, 우울증으로 휴직을 반복하는 남편과 등교를 거부하는 아들을 둔 30대 교사, 암 선고를 받고 죽음의 공포에 시달리는 50대 주부…….
저자는 다양한 상황에 처한 환자들을 직접 진료한 경험을 소개한다. 도무지 답이 보이지 않고 쉽게 해결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사례들이지만, 비단 책에만 나오는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도 누구나 비슷한 상황에 처해봤거나 처해 있거나 처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저자는 이들을 진료하며 깨우친 ‘시간약’과 ‘눈약’이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소개한다. 소극적 수용력의 개념을 친근하게 풀어서 처방한 것이다. ‘시간약’이란, 어떤 문제를 당장 해결할 수 없더라도 도망치지 않고 끝까지 지켜본다면 어떻게든 해결된다는 것이다. 우리 몸에 내재된 자연치유력이 발휘되든, 삶을 희망적으로 전망하려는 생존 본능이 작용하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식으로든 문제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등교를 거부하는 아이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눈약’이란, 사람은 괴로움을 홀로 견뎌내지 못하지만 자신을 지켜보는 눈(사람)이 있으면 어떻게든 견뎌낸다는 것이다. 임종기 환자를 대하는 의사의 태도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저자는 소극적 수용력을 잃고 살벌해진 오늘날의 교육현실, 그리고 인류애와 관용을 잃은 세계정세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물음을 던진다. 문제해결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 세상과 동떨어진 탁상공론식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진정한 배움과 멀어져버렸다는 것이다. 답이 나오지 않는 문제를 끊임없이 찾아가며 도전하는 것이야말로 교육의 참뜻이라는 저자의 말이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세상이 복잡다단해지면 개인과 사회의 불확실성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아무리 애써도 바꿀 수 없고 쉽게 답을 내릴 수 없는 인생의 수많은 문제와 고민들이 우리를 가로막고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 이 책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어떻게든 된다. 뭐라도 하고 있으면! 도망치지 않고 끝까지 지켜보기만 하면.”
1장에서는 시인 키츠의 비극적인 삶을 살펴보고, 그가 어떻게 소극적 수용력을 발견했는지 알아본다. 2장에서는 키츠가 발견한 소극적 수용력을 정신과 의사 윌프레드 비온이 어떻게 재발견했는지 알아보고 그의 파란만장한 삶을 짚어본다.
3장에서는 소극적 수용력의 불씨를 꺼뜨리기 쉬운 인간의 뇌에 대해 알아본다. 4장에서는 소극적 수용력을 경시하고 있는 의료 현장을 엿보고, 5장에서는 소극적 수용력이 꼭 필요한 정신과에서 진행하는 카운슬링에 대해 설명한다. 6장에서는 뇌의 ‘희망하는 힘’을 이용해 소극적 수용력을 발휘하는 전통 치료사의 행위를 검증한다.
7장에서는 소극적 수용력 없이는 성립하지 않는 창조행위의 심오함에 관해 설명하고, 8장에서는 소극적 수용력을 120% 발휘한 작가로 셰익스피어와 《겐지 이야기》의 무라사키 시키부를 소개한다.
9장에서는 소극적 수용력을 잃고 살벌해진 교육에 대해 논하고, 10장에서는 인간과 인류의 생존에 가장 필요한 ‘관용’에 대해 이야기한다. 관용이란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유지해나가는 것이며, 관용의 토대를 이루는 것이 바로 소극적 수용력이기 때문이다.
40년 경력의 정신과 의사이자 일본 유수의 여러 문학상을 휩쓴 소설가.
오랜 임상 경험과 예리한 통찰력으로 삶의 본질을 꿰뚫는 여러 작품을 출간한 저자는 고민 많은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능력으로 ‘소극적 수용력’을 제시한다.
소극적 수용력(negative capability)이란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성급하게 답을 내리지 않고 지켜보는 능력을 말한다. 지금껏 현대 사회가 강조해온, 빨리 답을 찾아내 상황을 종결짓는 능력인 적극적 수용력(positive capability)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19세기 시인 존 키츠가 처음 발견했고, 최근 교육, 의료, 간호 현장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저자는 자신의 전문 분야인 의료, 정신과 카운슬링, 그리고 여러 문학 작품과 작가의 창조행위 등을 살펴보면서 소극적 수용력의 의미와 중요성을 다각도로 해석해낸다. 소극적 수용력을 발휘할 때 비로소 대상의 본질에 깊이 다가갈 수 있고, 상대를 진심으로 공감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소극적 수용력을 잃고 살벌해진 현대 교육 현장과 인류애와 관용을 잃은 세계정세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물음을 던진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끝까지 지켜보는 것, 즉시 해결하지 못하더라도 그 문제를 끌어안고 견뎌내는 것. 그 자체가 중요한 능력이다”라는 그의 메시지를 따라가다 보면, 아무리 애써도 바꿀 수 없고 쉽게 답을 내릴 수 없는 인생의 수많은 문제와 고민 앞에서 우리가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하는지, 어떤 능력을 길러야 하는지 그 해답을 찾을 수 있게 된다.
1947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출생했다. 도쿄대 불문과, 규슈대 의대를 졸업한 뒤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마르세유 생트 마르그리트 병원 신경정신과, 파리의 생트 안느 병원에서 연수를 받았고, 기타규슈시 하치만 후생병원 부원장을 거쳐 현재 후쿠오카현 나카마시에서 도리타니 멘탈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1979년에 데뷔작 《하얀 여름의 묘표》를 발표하며 등단, 이 작품으로 그해 나오키 상 후보에 올랐다. 1993년 《세 번째 해협》으로 제14회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 신인상, 1995년 《폐쇄병동》으로 제8회 야마모토 슈고로 상, 1997년 《도망》으로 제10회 시바타 렌자부로 상을 수상했고, 《파리 제국》과 《반딧불이의 항적》 두 작품으로 일본의료소설 대상을 수상했다. 필명인 ‘하하키기’와 ‘호세이’는 《겐지 이야기》의 각 권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저자소개
시작하며-소극적 수용력을 만나다
1장-천재 시인 키츠가 시작한 소극적 수용력
2장-정신과 의사 윌프레드 비온이 재발견하다
3장-알고자 하는 뇌
4장-소극적 수용력과 의료
5장-카운슬링과 소극적 수용력
6장-희망을 좋아하는 뇌와 전통 치료사
7장-창조행위와 소극적 수용력
8장-셰익스피어와『겐지 이야기』
9장-교육과 소극적 수용력
10장-관용과 소극적 수용력
마치며-다시 한 번 공감에 대해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