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중심 놀이지도
유아는 놀이를 통해 성장하며 놀이를 즐기고 나아가 창조한다. 놀이는 유아의 생활이며일이며 문화이다. 유아는 놀이를 매개로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더불어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한다.
놀이에 내재된 근원적인 특성은 즐거움과 자유로움이다. 이러한 특성은 내적 동기를 유발하여 성장 발달의 동력이 되게 한다. 유아의 놀이를 반복적으로 지속시키는 힘은 내적인 동기에서 비롯된 자유로움이다. 유아는 사물을 가지고 놀거나 또래와 함께 놀이를 하면서 즐거움을 느끼며, 흥미를 갖고 탐색하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법을 배운다. 유아들에게 놀이란 자연스러운 것이며 사회를 배워 나가는 과정이다. 유아는 놀이 속 상상의 세계에서 점차적으로 현실적 세상을 이해하는 기준을 만들어 간다. 자유롭고 즐거운유아의 놀이는 그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인지적, 사회적, 언어적,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 타인과의 유기적 관계를 촉진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유아들은 소꿉놀이를 하면서 흙으로 밥을 짓고, 풀을 뜯어다가 찧고서 물을 부어 국을 끓인다. 이 같은 자연 속 놀이를 통해 엄마, 아빠, 아기, 어린이가 되어 보면서 여러 역할을 경험하게 된다. 아카시아 줄기로 파마놀이를 하기도 하고, 압화놀이, 염색놀이를 하기도 한다. 실내로 자연을 데리고 들어오기도 하고, 자연이 교실이 되기도 한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즐거움, 자유로움, 휴식, 행복감을 느끼게 되며 건강한 신체 발달 및 안정감과 심미감, 자아존중감, 타인과의 협동과 배려, 자연에 대한 경외심, 언어적 표현력, 호기심과 탐구심의 증가를 경험하고 성장해 나간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들이 놀이를 하면서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유아중심·놀이중심의 교육 과정으로 개정되었다. 놀이는 자연스러운 상황 속에서 유아들의 발달, 감정,태도, 기술을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교육이 본질적으로 놀이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유아는 스스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유능함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은 유아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원자로서의 역할로 변화하게 되었다.
-유아는 놀면서 배운다. 놀이는 유아의 자율적인 삶이고 즐거움이며 자유로움이다. 모든유아들이 놀이를 통해 밝고 건강하며 다른 사람을 배려할 줄 알고 공감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것을 믿고 희망해 본다
오연주,박애순,최정화,이명윤 공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