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와 문화정책
한류 20년 회고와 비판적 성찰, 더 나은 문화정책을 위한 시대적과제를 담은 한류 정책서
저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엮음)
저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국가 간 문화교류를 통해 해당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2003년에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제문화교류 전담기관입니다. 쌍방향 문화교류 행사 〈Feel Korea〉, 〈아시아드라마콘퍼런스〉, 외국인 유학생 한국문화탐방단 〈아우르기 Outlookie〉, 〈민관 협력 사회공헌 프로젝트〉 등 다채로운 문화교류 사업을 수행하면서 ‘착한 한류’를 실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37개국 40명의 해외통신원 운영으로 세계 속 한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한편, 〈한류백서〉, 〈해외한류실태조사〉, 〈한류NOW〉 등 꾸준한 조사연구를 통해 글로벌 문화 흐름을 진단하고, 지속 가능한 국제문화교류의 발판을 마련해나가고 있습니다.
저자 : 김정수
김정수 한양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과정을 마친 후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이후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객원교수와 공공행정학부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예리하고 날카로운 분석력을 기반으로 문화정책, 문화행정에 관한 다수의 글을 발표했다. 수준급 기타연주 실력을 보유해, 유튜브 채널도 운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행정론: 이론적 기반과 정책적 과제』, 『21세기를 위한 문화와 문화정책』, 『스크린쿼터의 추억』, 『정책학 입문』 등이 있다.
저자 : 문효진
문효진 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현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전문위원으로 재직했다.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지닌 한류 연구가로 국가브랜드 매니지먼트, 문화콘텐츠, 한류 전략 탐구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관광발전전략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한국광고홍보학회 편집위원, 충청북도 출자·출연기관 운영 심의위원회 위원, 제천시 명예연구위원으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저자 : 원용진
원용진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문화연구가
경남 진해 출생, 고향 진해에는 사회적인 것(the social)과 선물경제가 있었다며 매일 고향으로 돌아갈 일만 생각하는 애향인이자 문화연구가.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 1세대 학자로 문화역사와 문화정책, 문화운동과 관련한 다양한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 영상문화학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이자 문화연대 공동 대표이다. 홀로 저서로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텔레비전 비평론』, 『광고 문화 비평』, 『한국 언론 민주화의 진단』, 더불어 저서로 『PD 저널리즘』, 『아메리카나이제이션』, 『대중매체와 페미니즘』 등이 있다.
저자 : 이상원
이상원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와 플로리다대학교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컨설턴트를 거쳐 미국 제임스타운대학교와 센트럴미시건대학교 조교수를 지냈다. 특유의 섬세함과 젠틀함으로 각종 학회의 주요 보직을 맡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연구이사, 한국정보통신정책학회 이사, 정보사회와 미디어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미디어와 ICT 산업정책, 미디어 경제경영학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조교수를 지내고 있다.
이용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산업경제연구센터 부연구위원
서강대학교 경제학 석·박사학위를 수료한 경제학도로 노동경제학, 문화콘텐츠 인력, 고용·교육정책, 직업연구에 천착하고 있다. 2007년부터 2년간 SK경영경제연구소 경제연구실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2010년부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산업경제연구센터(구 문화산업연구실)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치밀하고 꼼꼼한 연구 태도로 숫자 이면에 숨겨진 콘텐츠 분야 근로자의 인력 코드를 꾸준히 추적해나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일자리 나누기 정책이 콘텐츠산업의 인력에 미치는 영향」, 「누가 자원봉사를 더 많이 하는가?」, 「근로시간 단축이 근로자의 생활과 근로환경에 미치는 영향」, 「차별시정제도가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구성에 미친 영향 분석」 등이 있다.
임성희 아이리버 서비스본부장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동아닷컴 기획팀장, 인포허브 콘텐츠사업본부장 등을 지냈다. SM엔터테인먼트와 SK텔레콤 합작회사 SM모바일커뮤니케이션즈에서 Vyrl 서비스를, SK텔레콤에서는 5DUCKS, HOTZIL, Hoppin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하는
제1부 어떻게 살아왔는가
1 한류 직문직답 한류 20년, 회고와 전망
#1 이창동 : ‘소통’의 문제, 문화적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
#2 유진룡 : 국민 행복을 살피는 눈, 문화가치를 발견하라
2 정부별 한류 정책과 법제 문민정부에서 촛불정부까지
3 한류 정책의 재조명 문화정책의 변천, 딜레마, 그리고 나아갈 방향
4 새 문화정책 기다리기 ‘사회적인 것’과 문화정책, 한류
제2부 어떻게 살 것인가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회와 문화콘텐츠 산업 융합혁신 전략
탈추격형 문화콘텐츠 산업 전략에 대한 제언
2 사람을 위한 문화정치 콘텐츠 분야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려면
3 글로벌 콘텐츠 경쟁 시대 한류, 플랫폼에서 답을 찾다
4 착한 한류, 더 나은 글로벌 문화교류를 위해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