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다시 출발점에 서다
문화의 디지털화, 케이팝의 보편성과 특수성, 인공지능과 음악산업의 미래 등 한류의 최신 이슈와 사회적 효용을 논증한 연구서
저자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국가 간 문화교류를 통해 해당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2003년에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제문화교류 전담기관입니다
해외 한류커뮤니티 지원, 민관 협력 해외사회공헌, K-컬쳐 페스티벌 등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 사업과 더불어 지역 우수 문화교류 콘텐츠 발굴 지원, 개도국 문화지원 역량 강화,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 양성, 주한외교단 문화교류 네트워킹, 수교계기 행사 등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통해 우수한 한국문화를 세계의 많은 이들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39개국 43개 지역의 해외통신원 운영으로 세계 속 한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한편, 국내외 현장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일도 빼놓지 않습니다. 『한류백서』, 『해외한류실태조사』, 『한류의 경제적 효과 연구』, 『글로벌 한류 트렌드』, 『한류NOW』 등 연간·분기·격월간 조사연구 간행물 발간으로 꾸준하고도 폭넓게 글로벌 문화 흐름을 진단합니다. 도서의 깊이에 사안의 시의성을 더한 『한류에서 교류로』(정책서), 『한류, 다음』(권역특서), 『모음』(월간 해외문화정책 동향)은 한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한류를 지지하는 또 하나의 방법입니다.
저자 : 원용진
ㅇ 원용진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문화연구가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 1세대 학자로 미디어와 한국 사회 안팎에 관한 주요 의제를 제기해왔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영상문화학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문화연대 공동대표, 문화사회연구소 이사장,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 YTN 시청자위원회 위원장,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2018년에는 한국형 공개 온라인 강좌인 케이-무크 K-MOOC 에서 ‘한류 한국대중문화의 글로컬라이제이션’ 강좌를 열어 지식 한류의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대중문화의 패러다임」,『텔레비전 비평론』, 『광고 문화 비평」, 『한국 언론 민주화의 진단』, 공저로 『PD 저널리즘』, 『아메리카나이제이션』, 『The Korean Wave: Evolution, Fandom, and Transnationality』 등이 있다.
저자 : 심두보
ㅇ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난 20여 년간 펼쳐진 동아시아 미디어 문화의 현실을 진단하고 그 과정에서 생략된 논의들을 적확하게 제시하는 데 힘써왔다.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거쳐 한국동남아학회 국제이사, 한국언론정보학회 기획이사, Journal of Fandom Studies 편집위원,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편집이사로 활동했으며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국제교류처장을 맡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한류: 싱가포르의 경우를 중심으로」, 「케이팝에 관한 소고: 한류, 아이돌 그리고 근대성 」 등 다수의 한류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젠틀한 아우라의 소유자로 연구자 집단과 학생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저자 : 김수정
ㅇ 김수정 충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대중문화 지형 내 특정 장르를 넘어 다양한 문화 현상의 징후와 쟁점을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자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정보학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캠퍼스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류와 관련한 주요 논문으로는 「일본과 중국 언론인들의 반한류 인식」, 「동남아시아 반한류에 나타난 문화적 갈등과 특성: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을 중심으로」, 「동남아에서 한류의 특성과 문화취향의 초국가적 흐름」 등이 있다. 많은 글을 통해 글로벌 문화 흐름에 대한 특유의 시선과 빼어난 감수성을 지닌 연구자로 활약 중이다.
저자 : 차우진
ㅇ 차우진 음악평론가
2001년 음악웹진 《WEIV www.weiv.co.kr 》의 에디터 겸 편집장으로 음악평론을 시작했다. 2006년 《매거진T》(현 텐아시아) 취재팀장을 거쳐 2009년부터 현재까지 프리랜서 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네이버뮤직 ‘이 주의 발견(국내편)’ 선정위원, 네이버 온스테이지 기획위원 등 여러 권한과 임무를 위임받아 대중음악과 관련한 중요한 역할을 이어나가고 있다. 《씨네21》, 《한겨레21》, 《GQ》, 《나일론》 등 여러 매체에 음악 및 방송에 대한 글을 써왔고, 저서로 『청춘의 사운드』와 공저 『아이돌』, 『한국의 인디레이블』 등을 출간했다. 2018년 말부터는 음악스타트업 ‘스페이스오디티’에서 키이스 Keith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이다. 런던 골드스미스대학의 음악학과 교수인 키쓰 네거스 Keith
책머리에
제1부 한류 직문직답, 그 두 번째 이야기
1. 한류, 한국 문화 전반의 토대를 세우는 일 _ 도종환 인터뷰
2. 난타에서 평창동계올림픽까지 _ 송승환 인터뷰
3. 유튜브 이전의 케이팝, 이후의 케이팝 _ 서황욱 인터뷰
4. 국제문화교류를 진흥한다는 것 _ 김용락 인터뷰
제2부 한류는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1. 디지털 기술 시대의 사회적 상상과 한류 _ 원용진
2. 한류의 효용: 산업 너머, 강대국 너머 _ 심두보
3. 글로컬 문화로서 케이팝의 보편성과 독특성 _ 김수정
제3부 한류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케이팝 그 이후
1. 케이팝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_ 차우진
2. 뉴미디어와 케이팝 _ 김미연, 권석정
3. 인공지능과 음악산업의 미래 _ 조영신, 심효섭, 김유래
4. 케이팝의 성과와 쟁점 _ 임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