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다음
중국, 홍콩, 대만, 일본, 몽골 등 동북아시아 5개 지역의 한류 현황과 미래의 한류, 혹은 한류 이후의 문화계 담론을 제시한 권역특서
저자 : 임대근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저자 : 박수강
에이엠콤파스 대표
저자 : 박병선
대만 국립정치대학 한국어문학과 교수
저자 : 김성민
홋카이도대학 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연구원 준교수
저자 : 이선아
단국대학교 아시아·중동학부 조교수
손성욱│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중국(북경) 통신원
이성화│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중국(홍콩) 통신원
박동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대만 통신원
한도 치즈코│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일본(도쿄) 통신원
박하영│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일본(오사카) 통신원
롭상다시 뭉흐치멕│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몽골 통신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엮음)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국가 간 문화교류를 통해 해당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2003년에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제문화교류 전담기관입니다
해외 한류커뮤니티 지원, 민관 협력 해외사회공헌, K-컬쳐 페스티벌 등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 사업과 더불어 지역 우수 문화교류 콘텐츠 발굴 지원, 개도국 문화지원 역량 강화,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 양성, 주한외교단 문화교류 네트워킹, 수교계기 행사 등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통해 우수한 한국문화를 세계의 많은 이들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39개국 43개 지역의 해외통신원 운영으로 세계 속 한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한편, 국내외 현장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일도 빼놓지 않습니다. 『한류백서』, 『해외한류실태조사』, 『한류의 경제적 효과 연구』, 『글로벌 한류 트렌드』, 『한류NOW』 등 연간·분기·격월간 조사연구 간행물 발간으로 꾸준하고도 폭넓게 글로벌 문화 흐름을 진단합니다. 도서의 깊이에 사안의 시의성을 더한 『한류에서 교류로』(정책서), 『한류, 다음』(권역특서), 『모음』(월간 해외문화정책 동향)은 한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한류를 지지하는 또 하나의 방법입니다.
프롤로그
가깝고도 먼, 익숙하지만 낯선 동북아시아 ㆍ 6
1. 중국
■ 중국 한류 체증의 돌파구, 어디에 있나 ㆍ 22
■ 2010년대, 중국에서 한류와 링링허우 ㆍ 54
2. 홍콩
■ 아시아 미술시장의 허브, 홍콩에 진출한 한국미술 ㆍ 84
■ 홍콩 미술품 경매시장을 통해 본 한국미술의 현주소 : 서울옥션 홍창희 디렉터,
솔루나 아트 그룹 이은주 디렉터, 예술가 목윙섬과의 인터뷰 ㆍ 120
3. 대만
■ 대만 문화 혁신과 콘텐츠 산업 발전의 새 방향: 문화콘텐츠책진원의 설립과 함의 ㆍ 138
■ 대만 문화콘텐츠책진원 5개년 계획, 무엇이 담겨 있나: 문책원 전략연구부 취샤오웨이 처장과의 인터뷰 ㆍ 166
4. 일본
■ ‘쿨재팬 전략’과 일본의 문화 내셔널리즘 ㆍ 184
■ 2019년 한류와 쿨재팬 회고: K-문학 열풍을 중심으로
쿠온출판사 김승복 대표, HANA 출판사 아사미 아야코와의 인터뷰 ㆍ 210
■ 애니메이션과 게임으로 ‘오타쿠 강국’ 만든 일본, 한류를 능가하는 쿨재팬 시대를 꿈꾼다
: JX 엔터테인먼트 사쿠타와의 인터뷰 ㆍ 228
5. 몽골
■ 몽골 한류, 경계를 넘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까지 ㆍ 242
■ 한류가 몽골의 문화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영향 ㆍ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