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테스트
글로벌 금융위기,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뉴욕연방준비은행장 및 오바마 1기 정부의 재무장관, 티모시 가이트너. 그는 미국이 대공황 이래 최악의 금융위기를 벗어나도록 구제금융부터 경기회복까지의 과정에 기여했다. 『스트레스 테스트』는 그가 손상된 금융산업을 복구하고 산업계의 붕괴를 막기 위해 내려야 했던 어려운 선택과 정치적으로 불쾌했던 결정적인 과정들을 진솔하게 보여준다. 이 책에는 그의 계획에 대한 오바마 정부 내의 갈등, 70년 만에 의회에 제출된 가장 획기적인 금융 개혁인 도드-프랭크 법을 둘러싼 투쟁 등이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 뉴욕 연준과 재무부 재임 중 가장 논란이 많았던 에피소드를 논의하면서 금융위기가 시작되고, 심화되고, 통제할 수 없었던 그 치열한 현장으로 독자들을 이끌고 간다. 또한 정부의 실업 대책, 재정적자와 채무를 둘러싼 일련의 정치적 투쟁, 유럽의 반복되는 재정위기의 혼돈 등 금융위기의 사후 충격을 가감없이 보여준다.
저자 : 티모시 가이트너 저자 티모시 가이트너(Timothy F. Geithner)는 다트머스 대학에서 아시아학 전공, 존 홉킨스 대학원에서 국제 경제와 동아시아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1988년 헨리 키신저 컨설팅에서 근무, 1988년~2001년 재무부에 재직하면서 로버트 루빈과 래리 서머스 장관의 국제 담당 차관을 역임하였다. 2001년~2003년에는 IMF의 정책개발 및 검토 부문 이사직을 수행했다. 2003년~2009년 뉴욕연방준비은행장으로 시스템적인 리스크에 대해 경고하였고, 2009년 1월 오바마 1기 정부의 75대 재무장관으로 취임하였다. 가이트너는 위기 발생 시에는 중앙은행에서 통화정책의 중심에 있었고, 발생 후에는 재무부에서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한 위기 대응책의 설계자였다. 장관 사임 후 국제관계위원회의 선임연구원으로서 본서를 집필하였으며, 현재는 워버그 핀커스 사모펀드의 대표이다. 역자 : 김규진 역자 김규진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대우증권의 국제금융, 런던현지법인 및 ABS&파생상품부에서 근무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자산유동화와 대우그룹구조조정에 참여했고, 법무법인 한빛 금융연구실을 거쳐 다산회계법인에서 재무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기업 구조조정 총설》 《경영자의 MBO기업인수》 《신용파생상품의 활용》 등을 출간하였다. 역자 : 김지욱 역자 김지욱은 현 신한금융지주회사 전략기획팀장, 한국의 리딩 금융지주사를 위한 전략수립업무와 대외협력업무, M&A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법학사와 법학석사를 취득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법학박사(금융조세법 전공) 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외환은행에서 투자은행(IB)업무의 기초를 배운 후에, 미국계(JP모건), 프랑스계(BNP파리바), 영국계(HSBC) 등 외국계 투자은행을 거치면서 서울과 홍콩에서 IB실무를 담당하였다. KDB대우증권 고유자산운용(PI)부장 및 삼성증권 기업금융 담당 이사를 거쳤다. 매경 및 한경 등 경제관련 매체에 자본시장 관련 정기칼럼을 기고하였으며, 《풀스 골드》 《사모펀드의 제왕》 《포스너가 본 신자유주의 위기》《 한국의 정크본드》 등을 출간하였다. 현재 금융위원회가 추진 중인 금융개혁추진단의 민간자문위원으로 위촉되어 한국금융을 개선시키는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역자 : 홍영만 역자 홍영만은 1981년 행정고시(25회)에 합격한 후 재무부와 금융위원회에서 금융의 모든 분야를 섭렵하며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하는 등 금융전문가로 30여년을 일했다. 재직중 미국 워싱톤주립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EBRD(유럽부흥개발은행) 이코노미스트,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금융감독위원회/금융감독원 통합 대변인, 금융서비스국장,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등을 지냈으며 현재는 부실기업정리 전문 공기업인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자본시장법 유권해석(편저, 2009)》 《구조조정 개설(공저, 2010)》 이 있다.
추천사 고조되는 금융위기의 경제 교과서 _전광우 역자 서문 미국을 금융위기에서 살려낸 가이트너의 교훈에서 배운다 _홍영만 서문 오바마 대통령의 재무장관으로 취임하다 1장 비영리단체 아시아 주재원 가문 2장 신흥 경제국, 금융위기를 경험하다 3장 역풍에 저항하다 4장 베어스턴스의 피인수 지원 조치 5장 리먼 구제 실패, AIG 구제 강행 6장 오바마 당선자의 선택 7장 은행국유화 대 스트레스 테스트 8장 계획이 무계획보다 낫다 9장 성공했지만 불쾌한 정책 10장 금융개혁법 입법 과정 11장 후폭풍 에필로그 가이트너의 회고 저자 노트 저자 주석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