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어 표기법(제3개정 신판)
우리말 표기의 올바른 지침서 올바른 국어 사용을 위한 <새 국어 표기법> 제3개정 신판. <새 국어 표기법>은 문교부가 시행 1년 전에 예시한 새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에 따라 1988년에 펴낸 것으로, 지금까지 두 번에 걸쳐 개정되었다. 1996년에 펴낸 제2개정판에는 공산권의 몰락과 세계화의 추세에 따라 유럽 8개국의 새 외래어 표기에 관한 한글 대조표와 표기 세칙 등을 추가하였다. 21세기 글로벌 시대를 맞은 정부는 말레이인도네시아어를 비롯하여 타이어, 베트남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등 6개국 언어의 표기법을 제정하여 2005년과 2006년부터 쓰도록 했다. 이번 제3개정 신판에는 이 6개국 언어의 표기법에 관한 국립국어원의 자료들을 담았다. 각 장 앞의 해설을 겸한 간략한 주요 개요 이외의 내용은 정부 고시 표기법을 그대로 옮겼다. 특히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이 2006년 12월 28일에 고시한「편집 기호 및 교정 기호」의 KS규격을 한 장으로 묶어 해설하고 있다. 부록에는 일반 외래 용어 를 담아 원어의 발음기호를 곁들여 표기의 근거를 제시하면서 오늘날의 글로벌 시대 외래어의 정확한 쓰기를 돕는다. 아울러 책 말미에 색인으로 실은 올바른 말 찾기 는 새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의 예문 등에서 인용한 용어를 가나다순으로 정리하고 각 해당 항을 밝혀 찾아보도록 함으로써 국어 문자 생활을 돕는다.
□ 편저자 전영표 박사 소개 이 책을 펴낸 전영표 박사는 1937년 강원도 정선에서 출생했고, 1960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곧바로 동양출판사, 과학사, 동서출판사 등에서 편집부장으로 일하면서《현대 사상 강좌》(전 10권: 제1회 한국출판문화상 수상서), 《현대지성전집》(전7권), 이숭녕 님의 《국어학 논고》와 그 밖에 《영어 사전》 등을 기획·편집했었다. 그 후 현재 코리어 헤럴드 모체였던 대한공론사와 내외경제 등에서
제3개정 신판을 내면서- 기호는 정보 시대의 언어/3 초판 머리말- 언어는 역사와 더불어... /6 Ⅰ. 한글 맞춤법 제 1 장 총 칙 · · · · · · · · · · · · · · · · · · · · · · 19 제 2 장 자 모 · · · · · · · · · · · · · · · · · · · · · · 19 제 3 장 소리에 관한 것 · · · · · · · · · · · · · · · · 20 제 4 장 형태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