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유튜브와 K-콘텐츠 레볼루션

유튜브와 K-콘텐츠 레볼루션

저자
대중문화연구회 지음
출판사
북아지트
출판일
2019-06-30
등록일
2019-11-18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39KB
공급사
알라딘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왜 세계는 유튜브에 열광하는가?

대한민국 초등학생 장래희망 1위, 유튜버
전 세계 10대 검색 1순위, 유튜브
K-콘텐츠는 유튜브를 통해 글로벌에 접속한다


BTS와 아미의 탄생 뒤에는 유튜브가 있었다. 그리고 그 이전 싸이의 <강남스타일> 뒤에도 유튜브가 있었다. 불닭볶음면의 선풍적인 인기 뒤에도 유튜브가 있었다.
고유명사가 되어버린 K-콘텐츠들. 유튜브는 이제 단순히 동영상을 공유하는 플랫폼이라는 차원을 넘어 전 세계 사람들이 모이는 생태계가 되었다. 과거 TV가 첫 등장했을 때 현대의 일상이 TV 앞으로 이동했던 것처럼 이제 사람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 유튜브 앞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제 유튜브는 구글, 네이버, 다음과 같은 텍스트 위주의 검색엔진의 역할 또한 이양받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유튜브로 K-콘텐츠 들여다보기’는 우리나라의 모든 개인과 기업에게 매우 중요한 일일 것이다. 그렇다면 유튜브 플랫폼에서 K-콘텐츠가 생산되고 소비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떠한 특징을 가졌을까?
이 책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동영상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유튜브가 국내에 어떤 영향을 끼치며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각 분야별로 K-콘텐츠 사례를 들어 정리하였다. 이 책을 통해 개인과 기업이 유튜브라는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서서 더 많은 기회를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분석한다.

저자소개

최하경
문화콘텐츠학 박사. 홍대앞 출판사에 다니고 있다.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함께 공부하는 것에 관심이 많으며 지역과 다양한 문화를 엮는 융합 기획자로 살고 있다. 저서로는《책문화공간과 도시재생》이 있다.

박성준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화콘텐츠학 전공. 논문으로는 「영화 <디스트릭트 9>에 나타난 폭력의 메커니즘」, 「<울보 권투부>에 나타난 재일청소년들의 동아리활동과 정체성 찾기」 등이 있다.

손유진
문화콘텐츠학 석사. 현재 문화정책 분야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스페인·라틴아메리카 지역문화와 일본 문화콘텐츠가 주요 관심 주제다.

송샘
정치외교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세상의 모든 스토리를 좋아한다. 많이 읽고 삼키다 보니 직접 쓰는 것도 좋아한다. 현재 정치칼럼, 여행에세이, 소설, 드라마 대본, 웹툰 스토리까지 세상에 내보이기 위해 준비 중에 있다.

이영아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대학원생. 글, 사진, 영화, 공연이 좋아 미디어를 전공하였다. 논문으로는「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통해 본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등이 있다.

정민채
문화콘텐츠학 석사. 문화 현상 및 콘텐츠 분석을 통한 사회 읽기에 관심이 많다. 논문으로는 「유체적 젠더 표현을 통해 본 젠더와 연대」 등이 있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