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필 내게 쌍둥이가 생겼다
기자 고유의 통찰력과 ‘엄마’의 사명감으로
현실의 삐져나온 살을 꼬집다!
‘독박’이 아닌 ‘공동’의 힘으로
무너지는 경계에서 삶의 중심을 찾다!
한 명이 아닌 두 명의 아이를 키운다는 건 어떨까. 무려 4kg이 넘는 태아를 뱃속에서 몇 달 동안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 직접 경험하지 않고는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간혹 길을 걷다 우연히 쌍둥이 유모차가 내 옆을 지나가면 시선은 자연스럽게 안에 누워있는 두 명의 아이에게 쏠린다. 일란성이라 신기하고 이란성이라 신기한 아이들의 얼굴을 바라볼 땐 나도 모르게 찰나의 행복감에 젖는다. 하지만 단 한 번도 아래로 쏠린 시선을 위로 올릴 생각은 하지 못했다. 쌍둥이를 출산하고, 키우고 있는 ‘엄마’를 바라볼 생각을. 아이들을 낳을 때 얼마나 힘들고 아팠을지, 유모차 손잡이를 쥔 손과 눈동자에 가득 고여 있는 피곤함에 대해 말이다. 그녀의 고단함에 대해 단 한 번도 고민해본 적이 없었다. 그저 천사 같은 아이들의 모습에 반해 뚫어지게 쳐다볼 뿐. 이토록 엄마라는 존재에 대해 무관심했다는 걸 《하필 내게 쌍둥이가 생겼다》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우리는 죽어서도 안 돼.”
작가 특유의 생동적인 문체는 쌍둥이를 임신하고, 출산하고, 기르는 모든 과정에 오로지 ‘엄마’가 아닌, 구성원 모두가 참여해야 한다는 사실을 머릿속에 각인시킨다. ‘독박 육아’가 아닌 ‘공동 육아’를 지향하는 작가의 태도는 대한민국 육아 환경에 뿌리 깊게 박힌 고정적인 시각을 꼬집고. 비틀고, 뽑아버리려는 기세다. 노골적으로 파고들어 어느 틈에 삐져나온 현실의 살을 강하게 꼬집는다. 《하필 내게 쌍둥이가 생겼다》에 스며든 시원하면서 현실적인 문체의 향연에 취해버리면 어느새 임신과 출산, 육아에 씐 ‘축복’이라는 안개 속에 숨어버렸던 ‘진짜 현실’을 보게 된다. 작가는 한 아이를 키우는 데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의 속담을 거론하며 아이들을 키워줄 마을의 역할에 대해 되묻는다. 또한 공적으로는 온 마을이 동원되는 것과 동시에 사적으로 가족이 반드시 동원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달을 손으로 가리면 무슨 소용일까. 결국엔 달빛은 손에서 벗어나 뻗어 나올 뿐이다. 곪은 상처 역시 그대로 두면 치유되지 않고 언젠가 썩기 마련이다. 작가는 이 점을 확실히 알고 있다. 혼자서 모든 육아를 뒤집어쓰는 건 마치 달을 손으로 가리는 행위나 마찬가지라는 걸. 곪은 상처를 방치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는 걸 말이다. 또한 작가는 “임신과 출산, 그리고 낙태까지도 모든 건 다 누군가의 몸으로 하는 일”이며 “이 모든 과정에 대한 권리는 임산부 본인에게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어떤 이유에서든 아이를 ‘직접’ 낳고 기르고 있는 엄마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야 한다고 말이다.
여전히 우리 사회는 임산부과 엄마를 향한 잣대가 가볍고 날카롭다. 그에 반해 아이러니하게도 합당한 권리는 주어지지 않는다. 이는 옳지 않다. 그 모든 권리 안에는 출산 휴가, 육아 휴직 등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 역시 포함된다. ‘국가’에서 정해놓은 법이라 할지라도 ‘사회’에서 잘 통용되지 않으면 소용없다. 이 또한 작가는 강하게 꼬집는다. 한 생명을 탄생시키는 일은 축복이지만, 그 과정은 험난하고 멀기만 하다. 한 생명을 잉태하고 기르는 건 분명 아름다운 일이다. 다만, 이 모든 과정에 엄마라는 존재가 있기에 가능하다는 사실 역시 잊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
서울경제신문에서 7년 차 기자로 재직 중. 2018년 서른다섯, 많지도 적지도 않은 나이에 딸 쌍둥이를 낳았다. 아이를 키우는 게 힘든 줄은 알았지만 임신만으로 사회생활이 방해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적잖은 충격을 받고, 브런치에 ‘졔잘졔잘’이라는 닉네임으로 ‘임산부의 사진첩’이라는 임신 에세이 연재를 시작했다. 임신 때문에 아프고 힘들다는 말을 하는 게 유난스럽게 느껴져 남몰래 글을 쓰며 스스로를 위로했다. 연재하면서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임신 중 우울감에 빠진다는 사실을 알고 출간을 결심했다.
1장_인생을 계획한 대로 살 수 있다는 착각은 얼마나 어리석은가.
1. 젖병설거지
2. 하루
3. 왜 임신을 했더라?
4. 굳이 몰라도 되는 행복
5. 이건 배신이야
6. 친정엄마
7. 다낭성 난소 증후군과 첫 번째 임신
8. 임신테스트의 비밀
9. 쿠바나 갈 걸 그랬어
10. 유산휴가
11. 해보자 계획 임신
12. 자연스럽지 않은 자연임신
13. 갈팡질팡
14. 무기력한 여성성
15. 토익시험도 아니고
16. 얼떨결에 임신
17. 두 번째 아기집
18. 하필, 내게, 쌍둥이가 생겼다
2장_임신과 출산, 그리고 낙태까지도 모든 건 다 누군가의 ‘몸’으로 하는 일이다.
이 모든 과정에 대한 권리는 ‘임산부 본인’에게 있다.
19. 임산부도 술이 고프다
20. 엄마 됨의 훈수
21. 고작 입덧도 힘들다
22. 쌍둥이 산모는 미리 살쪄야 한다
23. 다들 무리하고 있다
24. 임산부는 환자다
25. 더 많이 투덜대기
26. 애는 낳지 않는 게 정답
27. 그들이 움직인다
28. 제왕절개 할 거예요
29. 이 와중에 임신당뇨
30. 우울증의 서막
31. 회사, 안녕!
3장_내가 이런 불공평한 우주에 심지어 딸을 둘이나 낳았네. 세상에나…….
32. 애들은 불쌍하지 않아
33. 출산 3주 전, 배 내밀고 잠실에 가다
34. 엄마가 즐거워야 태교지
35. 케빈에 대하여, 엄마에 대하여
36. 내 아이가 범죄자가 된다면
37. 내 몸에서 헐크가 자라고 있다
38. 마지막 진료
39. 출산가방
40. 제왕절개 수술 직접 해보니
41. 수술후유증
42. 희생력 시험이 시작됐다
43. 모유 수유라는 종교
44. 산후조리원에서 의식을 잃다
45. 출산 후유증은 도처에
46. 룰루랄라에게서 꽃냄새가 나
47. 우리의 육아세팅
48. 시집간 딸, 괴뢰군으로 돌아오다
49. 산후도우미 서비스
50. 이모님 산전수전
51. 룰루랄라, 공동육아
52. 내 몸이 편해야 애를 키우지
53. 아이 한 명당 1.5명의 어른이 필요하다
4장_오빠, 우리는 죽어서도 안 돼.
54. 본격 독립육아
55. 재테크를 포기하다
56. 아이가 아파서 책상에 앉았다
57. 쌍둥이의 와병생활
58. 병원과 병원 사이 ‘신바람’
59. 엄마의 일은 반만 했다
60. 불행은 현재진행형
61. 결벽증
62. 나는 컨트롤타워다
63. 내 호르몬은 죄가 없다
64. 남편의 항변
65. 좋은 이모님을 만나려면 삼대가 덕을 쌓아야 한다
66. 아기는 왜 뺨을 맞았나
67. 화요일과 목요일
68. 쌩 독박육아의 날
69. 무조건 맘충이 된다
70. 육아 메이트가 필요해
71. 룰루랄라 모르모트행
72. 집필의 시간
73. 남편에게도 시간을
74. 우리는 죽을 수도 없어
75. 의아한 날들
엔딩 크레딧_아이는 행복일까
서지혜 지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