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론 (개정2판)
본서에서는 제1부의 건전한 성격, 정신건강 향상 분야를 보완하였고, 제2부에서 증상학 분야의 적응과 부적응 영역을 재정리하였다. 또한 제3부의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체계에서 가족사정부분의 상대적으로 심층화 된 분야를 간결하게 정리하였고, 제4부의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 영역부분은 지역사회 중심 실천체계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제5부 정신보건정책과 전망부분을 정신보건 정책, 정신보건법의 개정을 하면서 전달체계의 변환, 정신보건 전달체계 아래 정신보건서비스의 양상은 정신의료기관을 이용하던 정신장애인 수와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등 세 기관의 이용률이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 하였으며, 알코올상담센터 등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 분야로 편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알코올, 약물오남용과 함께 각종 중독 장애 치료센터, 자살예방센터 그리고 산업근로자의 정신건강 등 분야가 체계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과제이다.
■약력
대구대학교 사회사업학과(문학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문학석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문학박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역임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초대회장 역임
한국사회복지학회 부회장 역임
한국정신재활협회 부회장 역임
현,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달구벌 정신건강센터장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장
■저서
의료사회사업론(서울 : 형설출판사, 1986)
사회복지론(공저, 서울 : 형설출판사, 1999)
교류분석치료(공저, 서울 : 형설출판사, 1993)
사회복지시전(공저, 서울 : 경진사, 1990)
의료사회사업실천론(서울 : 형설출판사, 199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공역, 서울 : 나눔의 집, 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공저, 서울 : 나눔의 집, 2002)
장애인의 사회통합(공저, 서울 : 학지사, 2003)
대구시 사회복지편람(공저, 대구사회복지협의회, 2003)
제1부 정신건강과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제2부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대상체계 이해
제3부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체계
제4부 지역사회 중심 정신보건 실천체계
제5부 정신보건정책과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