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학 - 학교폭력 예방과 해결 실마리
봄 소풍 가는 날이면 잠을 설치곤 했다. 목적지 고흥 능가사까지 어린 게처럼 옆으로 앞으로 걷다 보면 배가 고팠다. 할머니가 싸 주신 도시락은 삶은 달걀, 우엉김밥, 조기 한 마리였다. 짝꿍은 선생님이 꼭꼭 숨겨 놓은 보물 쪽지를 석탑, 사천왕 발뒤꿈치 틈에서 찾아 아무 말 없이 내게 주었다. 그런데 요즘은 자연 관찰이나 역사 유적지 견학을 겸해 야외로 갔다 오는 소풍 풍경을 좀처럼 볼 수 없다.
온 국민을 경악하게 한 대구 중학생 학교폭력 사례는 폭력성 영화를 꼭 빼닮았다. 학교폭력은 권력과 계급이 상존하고 가해학생들은 잔혹해지고 조직화ㆍ집단화ㆍ저연령화, 여학생 폭력 증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모바일을 활용하는 사이버 폭력 등 그 수법도 진화하고 있다.
폭력은 학습되며 대물림된다. 어느 중학생은 폭행사실을 일렀다고 코뼈가 부러질 정도로 보복폭력을 가했다. 대구 한 학생은 후배들에게 깊이 1m 크기의 구덩이를 파게 하여 고 1년생을 밀어넣은 뒤 목만 나오게 한 채 파묻었다. 또래 학생에게 폭행과 금품갈취한 것을 신고한 데 앙심을 품고 보복폭행하고 협박한 것이다.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과 겸임교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강사, 경찰청 대변인실,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 조사관, 경기경찰청 감찰관, 경찰대학에서 창조 업무를 수행.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석사, 미국 조지워싱턴대 대학원 연수, 2007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형법), 2009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시집『날마다 한강을 건너는 이유』(민음사), 소설 『조광조 별』(형설라이프), 『금융범죄론』, 『공무원범죄학』(형설출판사), 『경찰 직무스트레스 이해와 치료』(학지사), 『학교폭력학』(그린), 『대통령 대 의회』(경인문화사) 17권, “SNS명예훼손의 형사책임”,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 하는 등 한국일보 고운문화상을 수상했다.
제1편 학교폭력이란 무엇인가?
제2편 법과 제도
제3편 학교폭력의 실태와 MANUAL
제4편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제5편 학생 보호
제6편 학교폭력 관련 법령
지영환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