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기실험
콘덴서기동전동기가 큰 기동토크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 사용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반발기동유도전동기가 사용되었다. 반발기동유도전동기는 다른 단상전동기들에 비해 값은 비싸지만, 큰 기동토크와 기동전류가 작다는 2가지 장점을 가진다.
회전자의 구조는 부상전동기보다 훨씬 복잡하다. 회전자는 DC기의 전기자권선, 특별히 고안된 정류자, 그리고 전동기가 거의 정격속도에 도달했을 때 모든 정류자들을 단락시키는 원심력 장치 등을 갖추고 있다. 반발기동유도전동기의 고정자는 단지 한 개의 권선이 사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분상전동기의 고정자와 같으며 보조권선은 없다.
정격속도의 80[%]가 되는 속도에서 정류자는 단락되는데, 이 작용으로 인하여 전기적으로 농형이 되어서, 분상전동기 동작 특성과 유사한 특성이 나타난다.
반발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는 그림 15-5와 같이 고정자에는 주권선과 기동권선이 있다. 회전자는 직류 전동기의 회전자와 비슷하다. 기동 시에는 그림에서와 같이 회전자권선을 브러시로 단락시켜 기동토크를 크게 하고, 전동기 속도가 70∼80[%]에 도달하면 원심력 스위치가 동작하여 모든 정류자편이 단락되므로 농형회전자와 같이 되어 단상유도전동기로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려면 그림에서와 같이 브러시를 이동시키거나, 주권선과 기동권선 중 하나의 접속 방향을 반대로 연결하면 된다.
<전기기기실험> 공저
실험 00 전기기기 실험을 위하여 알아야 할 사항
실험 02 직류 전동기 기동
실험 04 직류 분권전동기 부하특성
실험 06 직류 복권전동기 부하특성
실험 08 동기전동기의 V곡선
실험 10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 무부하시험
실험 12 단상변압기의 권수비 측정 및 극성Test
실험 14 단상변압기의 3상 결선
실험 16 단상콘덴서 기동유도전동기 실험
실험 18 반발기동 유도전동기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