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를 활용한 불확도 실무
측정의 역사는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고대 이집트의 쿠푸왕의 피라미드에서 사용했던 각도와 길이의 오차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매달 보름달이 뜰 때면 현장의 담당자는 왕의 중지부터 팔꿈치까지의 길이를 재어 막대를 제작한 뒤 현장에서 그와 같은 길이의 벽돌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막대의 길이가 마모되면 다시 돌아오는 보름달에 왕을 찾아 측정하기를 반복하였다고 한다.
이렇듯 측정과 표준의 소급성이 고대 시대부터 이미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다.
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측정결과에 대한 평균과 산포 등에 의한 관리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측정결과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변동 요인의 영향까지 고려한 신뢰도를 제공받기를 원하게 되었다. 불확실한 요인들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으며, 그 양은 얼마나 되는지, 어떠한 환경조건 하에 측정이 이루어졌는지, 그러한 모든 영향까지 고려한다면 결과적으로 측정결과는 얼마나 신뢰할 만하다고 볼 수 있는지 등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단계에 이른 것이다.
<길이계기 표준교정 실무 (2판)> 저자
Chapter 1 측정불확도 이해
Chapter 2 길이계기 표준교정절차 해설 (길이분야 계측기 교정 실무과정)
Chapter 3 계측기기 표준교정절차 해설 (역학량 분야 계측기 교정 실무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