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보건 사회사업론 (개정증보판)
이 책은 저자가 정신보건영역에 입문하여 정신과 담당 사회사업가로서, 또한 사회사업과장으로 활동하면서 얻은 경험과 강단에서 얻은 지식들을 나름대로 정리한 것으로, 학부과정과 대학원과정에서 정신보건사회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서가 없었던 기억이 이 책을 엮어 나가게 한 동기가 되었다.
본 서는 정신보건사회사업에 대한 이해와 우리 나라의 정신보건 현황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그리고 임상의 기초가 되는 정신병리론과 진단체계를 소상하게 다루었으며, 특히 정신보건사회사업가의 주요개입 대상인 알콜중독과 정신분열증에 대해서는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고, 저자가 임상실무에서 고안한 알콜리즘 단주교본의 일부를 첨가하여 현장감을 부각시키려고 애썼다. 또한 개입기술과 관련하여 실제 임상에서 다루어지는 기술들을 중심으로 그 이론과 절차 등을 자세하게 다루려고 시도한 점은 이 책이 가지는 장점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정신재활과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상기한 내용들은 체계적인 토대에 근거한 이론들이라기보다는 실제를 강조하고자 했음을 밝히며, 기존 교재의 내용을 인용하면서 저자들의 양해를 얻지 못함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또한 만의 하나 발생할 수 있는 내용에서의 오류는 전적으로 필자의 한계임을 밝히며, 향후 많은 지도와 충고로써 이 책이 거듭나기를 기원한다.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수료(철학박사)
하병원 정신의료사회사업가
봉생병원 사회사업과 과장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지도감독자
경남정보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 <정신보건 사회사업론> 외 다수
머리말
제1부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이해
제1장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이해
1. 서 론
2.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의의
3.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정의
4. 정신보건사회사업의 구성 요소
5. 정신보건사회사업가의 주요 업무
제2장 정신보건 환경의 이해
1. 정신질환의 실태
2. 정신질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3. 우리 나라의 정신보건 현황
4.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질환자 관리체계
제3장 정신보건법과 정신보건시설
1. 정신보건법의 이해
2. 정신보건법의 주요내용
제4장 장애인복지법과 정신장애
1. 장애인복지법의 개정
2. 정신장애의 정의 및 범위
3. 정신장애의 장애등급 판정기준
4. 장애판정의 세부기준
제2부 정신건강과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
제1장 서 론
제2장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제3장 정신방어기제
1. 갈등과 불안
2. 방어기제의 종류
3. 정신장애와 방어기제
제4장 정신병리의 이해
1. 정신병리란
2. 의식의 장애(Disorder of Consciousness)
3. 사고의 장애(Disorder of Thinking)
4. 기분과 정동의 장애(Disorder of Mood and Affect)
5. 행동의 장애(Disorder of Behavior or Activities)
6. 지각의 장애(Disorder of Perception)
7. 기억의 장애(Disorders of Memory)
8. 지능의 장애(Disorders of Intelligence)
9. 병식(Insight)
제3부 정신장애의 이해
제1장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1. 인격장애의 이해
2. 인격장애의 종류
3. 인격장애의 치료
4. 사회복지사와 인격장애의 치료
제2장 신경증(Neurosis)
1.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2. 해리형 장애(Dissociative Disorder)
3.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s)
4. 신경증과 사회복지사
제3장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1. 정신분열병의 역사적 고찰
2. 정신분열병의 진단
3. 임상 예
4. 역 학
5. 경과 및 예후
6. 정신분열병의 원인론
7. 정신분열병의 유형
8. 정신분열병의 치료
9. 가족치료 및 가족교육
10. 기타 접근법
11. 정신분열병과 사회복지가
제4장 알콜중독(Alcoholism)
1. 알콜중독의 심각성
2. 알콜중독의 정의와 형태
3. 알콜중독의 원인
4. 알콜 및 알콜중독의 영향
5. 알콜중독의 치료적 접근
6. 알콜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7. 알콜중독과 사회사업
8. 알콜중독자 치료교본
제5장 소아ㆍ청소년 정신장애
1.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2.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s)
3. 행동장애(Behavioral Disorders in Childhood)
4. 소아불안장애(Childhood Anxiety Disorder)
5. 청소년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
6. 소아 및 청소년 정신장애의 치료적 접근
제6장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1. 정신지체에 대한 이해
2.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정서적 특성
3. 정신지체에 대한 관점의 변화
4. 정신지체인에 대한 사회사업적 개입
제7장 치매(Dementia)
1. 치매의 기본적 이해
2. 역 학
3. 치매의 주요증상과 진행과정
4. 치매의 원인
5. 치매의 유형
6. 치매의 임상적 유형
7. 치매의 관리지침
제4부 실무편
제1장 정신장애에 대한 개입 모델
1. 생리학적 모델(Physiological Model)
2. 정신역동적 모델(Psychodynamic Model)
3. 사회학습 모델(Social Learning Model)
4. 사회반응론적 모델(Social Reaction Model)
5. 사회스트레스 모델(Social Stress Reaction Model)
제2장 Intake와 사회사업 사정
1. Intake
2. 사회사업 사정
3. 심리·사회적 사정
제3장 정신치료
1. 정신치료의 이해
2. 정신치료의 목적
3. 정신분석과 정신치료
4. 치료대상과 치료자의 자질
5. 면담시간과 공간
6. 치료의 도입단계
7. 치료의 초기단계
8. 치료의 중간단계
9. 치료의 종결단계
10. 평 가
제4장 심리극
1. 싸이코드라마의 정의
2. 싸이코드라마의 주요 개념
3. 싸이코드라마 구성의 5요소
4. 싸이코드라마의 진행 과정
5. 심리극의 주요기법
6. 싸이코드라마의 기본가정
7. 싸이코드라마 실행의 기본원리
8. 심리극에서 연출자
9. 심리극의 목표
제5장 사회기술훈련
1. 사회기술훈련이란?
2. 사회기술훈련의 필요성
3. 사회사업가와 사회기술 훈련
4. 사회기술훈련의 이론적 배경
5. 사회기술훈련과 스트레스 취약성 극복능력이론
6. 사회기술훈련의 구성
7. 사회기술훈련 진행자의 마음가짐
8. 사회기술훈련 진행자의 태도
9. 사회기술훈련의 학습원칙
10. 사회기술훈련 시행시의 기본적인 자세
11. 사회기술훈련에서의 평가
12. 집단단위 사회기술 훈련의 이점
13. 사회기술훈련의 전형적인 순서
14. 형태화(Shaping)를 통한 과제 부여의 예
15. 사회기술훈련과 평가
16. 일반화를 촉진시키는데 이용되는 방법들
17. 사회기술훈련에서 사용되는 교육내용의 Modul의 일부 예들
제6장 낮병원
1. 낮병원(부분입원)의 개념
2. 낮병원의 개입모델
3. 치료적 환경
4. 낮병원의 집단적 치료기전
5. 낮병원 치료팀
6. 낮병원 프로그램
7. 낮병원 참석대상(Indication)
8. 낮병원과 사회복지사
9. 낮병원운영에서의 고려사항
제7장 정신장애인의 사례관리
1. 사례관리의 특성
2.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례관리 실천의 필요성
3. 재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사례관리
4. 사례관리의 실천모형
5. 사례관리자의 주요역할
6. 사례관리의 전개과정
7. 사례관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제8장 정신사회재활
1. 정신사회재활의 개념
2. 재활과 관련된 정신장애인의 특징
3. 정신사회재활의 필요성
4. 정신재활과 관련된 잘못된 반응
5. 정신재활의 기본원리
6. 정신사회재활의 전략과 과정
7. 정신사회재활치료의 구성
제9장 지역사회 정신보건
1.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역사적 발달
2.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이해
3.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정책형성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
4.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부 록
1. 문제 해결 기술 평가
2. 일상생활기술점검표
3. 사회행동척도(Social Behavior Scale)
4. 삶의 질 평가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