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으로 떠나는 취업독서교육
‘한국인 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독서량은 연간 12.1권으로 월 평균 한권의 책을 읽는 것으로 조사됐다. 더욱이 성인 4명중 1명은 1년 동안 아예 한권도 안 읽은 것으로 드러나 그 심각성이 매우 크다. 또 다른 조사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대학생의 상당수가 한 달에 책을 한권도 읽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는 성인 전체 평균 독서량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대학에 들어오기 전까지 입시 위주의 교육에 익숙해져서 체계적인 독서습관을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 많은 대학생들이 학과 공부와 취업준비 때문에 바빠서 독서를 못한다고 한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독서를 안 하는 가장 큰 이유 바로 인터넷이다. 학생들이 인터넷 문화에 길들여지면서 검색을 통해 빠르고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자 책을 읽지 않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자세는 부작용도 낳고 있는데, 바로 독서를 통해 익힐 수 있는 사고력과 논리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요즘은 인터넷으로 필요한 정보나 단편적인 지식은 잘 찾아낸다. 하지만 전체 맥락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떨어지고 있다. 바로 이와 같이 사고력과 논리력이 부족한 게 무엇보다 독서를 안 하기 때문인 것이다.
<하늘 바람꽃이 핀다>, <침묵으로도 다하지 못하는 그리움>, <사랑과 고독의 변증법>, <대학에서 만나는 내 인생의 터닝포인트>, <스마트 취업성공비법>, <사업실패방정식>, <도서관대탐험>, <나를 성공 시키는 절묘한 작전타임>, <시간관리, 1주일이 인생을 좌우한다>, <성공의 프리미 토론과 발표>, <나의 깊이를 더하는 자기관리법> 등을 저술한 시인이자 사진작가
1.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2.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3. 책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4. 글쓰기를 위한 독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
5. 취업을 위한 독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
6. 도서관 책,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7. 독서노트 작성은 어떻게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