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게임기획자다 II - 게임회사에 취업하고 싶은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팟빵 게임 카테고리 5위! 〈나는 게임기획자다!> : 현직 게임 기획자 썬(황선혜)과 맥스(김동휘)가 모여서 업계, 게임 개발 이야기를 나누는 팟캐스트 방송이다. 팟빵 게임 카테고리에서 5위까지 오르기도 했다. 주제별로 현업에서 일하는 개발자, 아티스트, 연구가를 초청해서 게임 개발과 게임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이 책의 내용 : 이 책은 1회부터 17회까지의 방송 내용 중 핵심적인 내용을 1권, 2권으로 나누어 제공한다. 1권에서는 취업, 게임 개발 전반에 대해 다양한 전문가분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2권에서는 문화로서의 게임, 게임 기획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을 담았다.
〈나는 게임 기획자다 1 게임회사에 취업하고 싶은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1. 게임기획자가 되는 법 : 게임회사 공채 합격의 경험이 있는 기획자 3분과 이야기를 나눴다.
2. 사운드 : 사운드 개발자 무그 님에게서 게임 사운드 작업에 대한 경험담을 들었다. 무그님은 게임 BGM, 효과음, 성우 녹음 작업의 경험이 있으며 다수의 IP게임 런칭했다.
3. 원화 : 게임 원화가 땡땡님과 원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다. 미술 입시학원 강사로도 일해보셨던 경험이 있고, 현재는 게임 개발사에서 원화가로 활동하고 있다.
4. 애니메이션, 이펙트, TA : 애니메이션과 이펙트에 대해서 엔지스님을 모시고 이야기를 하였다. 애니메이션, 이펙트, TA의 3가지 직군의 경험이 있다.
5.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머인 테드님을 모시고 게임 개발 관련 경험담을 들었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서버 프로그래밍 두 분야를 경험하셨다.
6. GUI : GUI 디자인에 대해서 구이님을 모시고 이야기를 하였다. 패키지 게임, 모바일 게임, PC 게임 다양한 플랫폼의 게임 런칭에 들어간 UI를 제작한 경험이 있다.
7. 헤드헌터 : 팀장님과 피카님을 모시고 이야기를 나눴다. 팀장님은 헤드헌팅 업계에서 10년 넘는 경력이 있고, 피카 님은 게임 사업, 개발 경험도 보유하고 있는 헤드헌터이다.
8. Q&A : 대학생들과 예비 게임 개발자들이 게임 개발에 궁금한 점을 질문한다.
경력 : 엔씨소프트 게임 기획(2015~2018),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산업 지원(2014), <나는 게임기획자다!>에서 ‘썬’으로 제작 및 진행(2017~)
현직 게임기획자 : 상용화된 모바일 게임의 시스템, 콘텐츠 기획을 했다. 안정적인 회사원 생활을 하다가 때려치우고 게임 업계에 와서 열심히 구르는 중이다. 게임, 방송, 음악 등 콘텐츠를 분석해보는 것이 취미이다. 아이돌 덕후라 언젠가 아이돌 육성 게임을 만들어 보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라디오 음악방송 PD : 공동체 라디오 방송국에서 자원활동가 PD로 음악방송을 만들었다. 국제 공동체 라디오 콘퍼런스(ARMARC)에서 스태프로 참여한 경험이 있다. 같이 방송을 만들던 DJ, PD들은 대부분 방송 업계로 입문했는데 홀로 게임 업계로 들어오게 되었다. 콘텐츠 업계의 일이 겉으로는 재미있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힘들다는 의미에서 ‘빛 좋은 개살구’라는 모임을 하고 있다.
<나는 게임기획자다!> 제작, 편집 : 술자리에서 충동적으로 이야기가 나온 팟캐스트 제작을 시작해서 1년 정도 꾸준히 에피소드를 만들어 왔다. 스튜디오에서 스터디 카페로 전전하면서 방송을 만들었다. 업계 사람들의 게임에 대한 생각을 담아내고 있다.
프롤로그. 나는 게임기획자다
01. 게임과 예술(Game and Art)
01-1. 미디어 아티스트 안가영 소개
01-2. 넷마블 게임 아카데미
01-3. 게임잼 : 게임, 정치, 디지털 게임
01-4. 예술이란?
01-5. 게임은 예술이 될 수 있을까?
01-6. 미디어 아티스트 안가영 후기
01-7. Summary
02. 게임과 아이돌(Game and Idol)
02-1. 시스템 기획자 RH 소개
02-2. 아이돌이란?
02-3. 아이돌과 게임 기획
02-4. 아이돌과 게임 컬래버레이션
02-5. 아이돌 육성 게임
02-6. 경험의 개인화
02-7. 시스템 기획자 RH 후기
02-8. Summary
03. 게임 인문학(Game and Humanities)
03-1. 연구가 오영진 소개
03-2. 인생의 암울한 시기를 함께 한 게임
03-3. 게이머의 역사, 게임 문화
03-4. 게임과 인문학
03-5. 뉴 게임 플레이 : AI 부처
03-6. 모바일 게임에서의 자동 사냥
03-7. 게임과 문학
03-8. 테크노 페미니즘과 게임
03-9. VR, AR
03-10. 게임 개발자의 게임 플레이
03-11. 연구가 오영진 후기
03-12. Summary
04. RPG 콘텐츠 기획과 IP 게임(RPG Content Design and Licensed Game)
04-1. IP 게임 PD 비에 젖은 개 소개
04-2. 콘텐츠 기획이란?
04-3. 스토리는 게임에 어떻게 반영되는가?
04-4. 게임 글로벌 서비스
04-5. IP 게임 제작
04-6. PD의 역할
04-7. IP 게임 PD 비에 젖은 개 후기
04-8. Summary
05. RPG 시스템 기획과 게임 스타트업(RPG System Design and Game Startup)
05-1. 시스템 기획자 17호 소개
05-2. 모바일과 PC MMORPG에서의 시스템 기획
05-3. 프로그래밍 지식은 필수적인가?
05-4. 퀘스트 기획
05-5. AI와 스크립트
05-6. 게임 스타트업에 다니는 이유
05-7. 게임 스타트업 사기꾼 유형
05-8. 게임 스타트업 연봉과 지분
05-9. 퍼블리싱과 정부지원과제
05-10. 게임 스타트업을 떠나는 이유
05-11. 시스템 기획자 17호 후기
05-12. Summary
06. AOS 게임 기획(AOS Game Design)
06-1. 국내 최초 AOS 게임 개발자 듀로프
06-2. AOS 게임 개념과 역사
06-3. AOS 게임 기획 : 콘셉트
06-4. AOS 게임 기획 : 역할
06-5. MMORPG와 AOS 개발 차이점
06-6. 국내 최초 AOS 게임 개발자 듀로프 후기
06-7. Summary
07. Q&A
07-1. 게임과 인문학 Q&A
07-2. GUI 예비 디자이너 Q&A
에필로그. 1년간의 팟캐스트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