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관리 (제4판)
지금처럼 기업 활동에 있어서 데이터의 역할이 중요했던 적은 없었다. 앞으로 데이터는 새로운 세상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며, 데이터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될 것이다. 매일 생성되는 데이터의 절대량이 늘어나고, 데이터 분석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면서 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한 기술에도 많은 변화들이 있었으며, 이번 개정판에서는 그러한 변화들을 수용하고자 노력하였다. 최근 빅 데이터와 함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NoSQL에 대한 소개를 추가하였고 Oracle, MS Access, Erwin, MongoDB 등 실습용 소프트웨어의 가장 최근 버전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해당되는 장이나 책 뒤쪽 부록에 수록하였다. 시장에서 크게 성공하지 못한 객체중심 데이터 모델은 본문에서 삭제하고, 책 뒤쪽의 부록으로 돌렸다. 그 외에도 모든 장에서 새로운 내용이 부분적으로 추가되거나, 기존 내용이 개선되었다. 이번 개정판에서도 3판의 정신을 그대로 이어받아 가능한 수식과 알고리즘의 나열을 배제하고, 어떤 전공자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내용을 풀어 쓰는 것을 기본 철학으로 삼았다. 다만 학부 수준에서 다소 어렵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별표(*)를 붙여 난이도를 구별하였다. 3판과 마찬가지로 명문가구라는 가상의 회사 사례를 처음부터 끝까지 사용함으로써 설명에 일관성을 부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각 편마다 그림과 글을 실어 딱딱한 데이터베이스 기술서에 인문학적 상상력을 불어 넣고자 했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정보시스템을 전공하여 경영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데이터 모델링, 매체관련 이론, 사용자 접속 등이며, MIS Quarterl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Decision Support Systems, Information and Management, EC Research & Applications, Journal of Global Information Management, 경영정보학 연구, 경영학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정보기술과 데이터베이스저널 등의 학술지와 ICIS, HICSS, PACIS, 경영정보학회, 경영학회 등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경영정보학 연구, 경영저널 등의 편집위원을 역임하였으며, 2001년 Accenture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고, 세계인명사전(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에 등재되었으며, 현재 Information and Management의 Editorial Board로 활동중이다.
서길수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