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 이론총서] 조지 레이코프
전통적으로 은유는 시인이나 능변가처럼 선택받은 소수가 시나 웅변을 더 설득력 있고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문체상 기교로 간주돼 왔다. 그러나 인지언어학은 은유가 단지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사고 과정의 문제임을 밝힌다. 인간 인지 과정은 본질상 은유적이라는 것이다. 은유는 소수의 특별한 사람뿐만 아니라 언어 사용자 모두에게 중요한 기제다. 이 책은 세계적 인지언어학자 조지 레이코프의 이론을 10가지 키워드로 정리한다. 세상을 이해하는 프레임이 여기 있다.
전남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 대학원과 전남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캠퍼스(UC 버클리) 언어학과에서 객원학자로 인지언어학과 은유를 연구했으며, 전남대 영미문화연구소 연구원과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담화 · 인지언어학회의 연구이사를 지냈으며, 학술지 담화와 인지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인지언어학』(공저), 역서로 조지 레이코프의 『삶으로서의 은유』와 『몸의 철학』『프레임 전쟁』『자유는 누구의 것인가』『폴리티컬 마인드』를 비롯하여 『인지언어학이란 무엇인가』『개념 · 영상 · 상징』『마음의 시학』 등이 있다. 「성욕의 은유적 개념화」「한국인의 삶을 지배하는 교육 은유」「개념적 은유: 사랑」 등의 논문을 썼다.
01 개념적 은유 이론
02 은유의 종류
03 은유적 사상: 원천 영역에서 목표 영역으로
04 시적 은유 대 일상적 은유
05 프레임, 세상을 이해하는 창
06 국가는 가정 은유
07 진보와 보수의 정치적 세계관
08 인과관계와 정치적 세계관
09 자유 대 자유: 개념 쟁탈전
10 신체화된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