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놓아라 그리고 천천히 걸어라
현대인을 위한 작은 생활수행 이야기 행복에 이르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욕망을 이루었을 때 오는 행복이고, 둘째는 욕망 그 자체를 비워 버렸을 때 오는 행복입니다. 첫 번째 행복은 욕망의 성취와 좌절에 따라 행복과 불행으로 나뉘는 상대적인 행복이지만, 두 번 째 행복은 성취와 좌절이라는 두 가지 갈림길이 없는 그저 있는 그대로 중심 잡힌 당당한 행복입 니다. 전자의 행복은 끊임없이 또 다른 욕망을 불러오고 잠깐 동안의 들뜬 행복감만 가져다 주며, 유한 하기에 헛헛하지만, 후자의 행복은 아무것도 바랄 것 없이 지금 이 모습 그대로 평화로운 무한하 고 고요한 행복입니다. 인류의 수많은 성자들이 마음을 비워라 하는 이유는 바로 욕망을 비웠을 때 오는 행복이 지고 한 참된 행복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마음을 비워야 당당해질 수 있고, 내 안에 우뚝 선 중심을 잡을 수 있습니다. 내가 내 삶의 주인공이 되어 당당하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 출판사 제공
법상(法相) 자연과 더불어 시골에서 어린 날을 보낸 스님은 동국대와 동 대학원에서 불교를 공부하였으며, 불심도문 큰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생생한 삶이 곧 수행처라는 생각으로 생활수행도량 ‘목탁소리(www.moktaksori.org)’를 개설하여 많은 이들에게 수행과 명상, 자연과 환경, 종교와 지혜를 주제로 한 진지한 깨침의 이야기들을 전하면서부터 네티즌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생활 속에서 삶을 변화시켜줄 수 있는 명상수행과 자연 속에서의 조화로움을 찾는 깨침의 글들을 조계종 포교 사이트인 ‘달마넷’,‘한국일보’,‘법보신문’등에 연재하면서 독자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05년에는 ‘한국문인’에서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하기도 했으며, 불교출판문화협회에서 선정하는 ‘올해의 불서 10’에 『반야심경과 마음공부』가 선정되기도 했다. ‘06년 겨울 강원도 양구의 산골 작은 암자 도솔사로 들어가 자연과 더불어 놓아버림과 내적 휴식의 가르침을 전하고 실천하며 살고 있다. 저서로는 『부자보다는 잘 사는 사람이 되라』『생활수행이야기』『마음을 놓아라 그리고 천천히 걸어라』『관심』『반야심경과 마음공부』등이 있다. 목탁소리 : http://www.moktaksori.org
서문·프롤로그 4 첫 번째 이야기 당당하기 혼자 있음, 외로움과 벗하라·16 흔들림 없는 마음의 주장자·24 생활 속의 연기법·30 욕심과 서원·42 그냥 그냥 사는 거지·48 입시, 진급을 앞둔 이들에게·54 내 생각을 남에게 주입하지 말라·60 사는 순간, 죽는 순간·66 죽든 살든 굳게 믿으라·74 다 놓으면 다 된다·80 두 번째 이야기 깨어있기 단지 그러할 뿐·88 ‘내 일’이 아닌 ‘부처님 일’·94 안을 다스려라·100 ‘나’는 없다·106 생활 속에 깨어 있기·112 쉽게 닦아가는 생활수행법·118 느낌! 그대로를 느껴라·124 결정하는 방법·130 밝은 마음·136 분별없이 비추어 보라·142 세 번째 이야기 자비롭기 세상을 소유하라·152 정성이 업장을 녹인다·158 사람을 대하는 마음가짐·164 바로 지금 느끼는 깨달음 체험·170 나와 이웃에 대한 실천명상·176 온전히 보시하는 방법·180 중생 마음 부처 마음·188 생활 속 자비관·194 법계에 복의 씨앗을 심자·204 대승경전의 핵심사상·210 네 번째 이야기 정진하기 생활수행의 시작, 새벽예불·228 이 순간으로 돌아와 관하라·236 ‘관(觀)’하는 날·240 깨달음은 바로 지금 일어난다·246 전쟁터의 투사 같아라·254 온갖 경계를 녹이는 염불수행·260 생활 염불수행법·266 정진 염불수행법·272 염불 및 독경수행 방법·278 이 밝은 길! 수행정진·284 이번 생에 끝장을 내라·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