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 상담
특수아 상담을 다룬 책. 심리학과 특수교육학을 전공한 두 저자가 다학문적 접근을 통해 특수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상담자와 교사의 역할을 동시에 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심리학적, 특수교육학적 관점으로 특수아동을 충분히 이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교사들이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아동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특수아의 발생원인, 특성, 상담과 교육의 실제, 진단과 평가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송미경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졸업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교육심리전공)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상담심리전공) 서울시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 상담지도팀장, 한별정신병원 임상심리과장 역임 현재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서울여자대학교 겸임교수 상담심리사 1급, 정신보건 임상심리사 1급, 청소년상담사 1급의 자격을 취득하고 임상 현장에서 상담 및 슈퍼비전을 실시하고 있다. 성격 문제, 우울, 불안 등과 같은 개인의 정신건강 문제와 가족, 지역사회 등과 연계한 다중체계치료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최윤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특수교육전공)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특수교육전공) 서울시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 교육재활팀장, 광성해맑음학교 특수교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원 역임 현재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복지관과 특수학교에서의 특수교사 경험을 토대로 최근까지 장애 아동의 부모와 교사를 위한 상담과 지원을 하고 있다.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문제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하여 지금은 부모와 형제 등 다양한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제1부 특수아의 이해 제1장 특수아 제2장 진단과 평가 제2부 인지 및 감각문제 제3장 정신지체 제4장 학습장애 제5장 언어 및 의사소통장애 제6장 감각장애 제7장 지체 및 건강장애 제8장 우수아 제3부 정서 및 행동문제 제9장 자폐 범주성 장애 제10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제11장 품행장애 제12장 기분장애 제13장 불안장애 제14장 섭식장애 제15장 물질관련 장애
송미경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