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처 비즈니스
문화로 일하고 경제로 노는 컬처 비즈니스 세상! 『컬처 비즈니스』는 부의 미래를 좌우하는 문화콘텐츠 비즈니스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디지털문화생태계를 주도해나갈 문화콘텐츠 산업 분야 전문가인 저자는 문화 와 비즈니스와의 연관성을 강조하며, 진화하는 경제가 문화를 지향한다는 논리 아래 글로벌 비즈니스 사회에 필요한 문화콘텐츠 지식을 선사한다. 먼저 1부에서는 문화에 탐닉하는 사회현상을 소개한다. 여기서는 세컨드 라이프 열풍을 시작으로 메트로폴리탄, 신인류와 신인성, 오타쿠 등 새로운 문화적 현상을 제시한다. 그런 다음 2부에서는 문화와 경제를 전혀 다른 차원에서 생각하던 과거와 달리 문화와 경제가 얼마나 밀접해 졌는가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3부에서는 문화일상, 문화수익, 문화주인, 문화개척, 문화원형 등 문화에 투자하는 다섯 가지 방법을 알려준다. 또한 4부에서는 문화경영에 대한 배경지식과 매뉴얼을, 마지막 5부에서는 문화와 얽힌 경제 각 부문의 트렌드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구태의연한 이론이 아니라 현실에 맞는 실질적인 정보가 가득하다. ☞이 책의 독서 포인트! 문화를 소비만하며 즐기는 데 멈출 것인가? 이 책은 글로벌 수익을 창출하는 문화사업 구상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다. 한 장을 넘길 때마다 이 내용을 어떻게 비즈니스에 적용할 것인지를 생각하며 읽다 보면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심상민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MBA를, 연세대학교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경제신문 산업1부 기자를 거쳐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을 역임하고, 현재는 성신여자대학교 문화ㆍ커뮤니케이션학부 문화콘텐츠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문화콘텐츠와 창의성》, 《블루콘텐츠 비즈니스》, 《미디어는 콘텐츠다》, 《한국 주력산업의 경쟁력 분석》, 《한국의 지하경제》 등의 저서를 펴내며 디지털 문화생태계를 주도해나갈 문화콘텐츠 산업 분야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책을 내며-경제부자에서 문화부자로 1부 YOU, 문화에 탐닉하다 세컨드 라이프 열풍 | 아트펀드, 문화간식? 문화주식? | 멀티태스크 수행하는 T자형 인간 | 메트로폴리탄 | 수학자, 문화산업을 맡다 | 신인류와 신인성 | 신인성과 문화취향 | 여성, 콘텐츠로 용틀임하다 | 수석문화연출가라야 한다 | 섬너 레드스톤과 멀티플렉스 | 잉그바르 캄프라드와 이케아 | 루치아노 베네통과 디자인 회춘 | 문화생업과 문화생산 | 문화에 투자하기까지 | 한국의 오타쿠 | 삼성전자와 뱅앤울룹슨의 문화합작 | 이동통신사 문화보험 내역 | 신의 물방울과 회사인간 | 공연기획자가 되고픈 아이들 | 문화생업 드림시티 여강 원주민 2부 문화로 일하고 경제로 놀아요 티베트와 두바이 | 경제인과 문화인, 둘이 아니에요 | 산업화, 정보화에 이은 문화ㆍ소프트 시대 | 문화노동과 경제놀이 | 문화를 갈망하는 사회 | 문화는 소비가 아니다 | 문화는 창조하지 않아도 된다 | 문화하는 마음과 경제하는 마음은 섞인다 | 만국 공통화폐가 된 문화콘텐츠 | 문화산업으로는 돈 못 번다 | 한국적인 것이 곧 세계적일 순 없다 | 문화다양성으로는 문화제국주의를 막지 못한다 | 문화생활할 필요 없다 | 문화가 현금보다 좋다 | 참기 어려운 콘텐츠의 매혹 | 문화는 6만 가지 꽃송이 | 문화로 시간, 공간, 인간을 누린다 | 문화를 중시하는 중국 | YOU에 밀린 코리아, 다시 한 번 3부 문화에 투자하는 다섯 가지 방법 문화일상:일하면서 놀고 놀면서 일하라 | 문화수익:금전보다 큰 보상과 만족을 따져라 | 문화주인:창조계급을 알아보라 | 문화개척:문화생태계에 땀을 뿌려라 | 문화원형:디지털을 역주행하라 4부 문화경영 매뉴얼 문화로 승부하라 | 문화 없이 어디 가니? 마이크로소프트 | 미리 대응하는 콘텐츠 스타일 변화 | 문화콘텐츠 비즈니스 미래전략 | 뉴미디어 뉴콘텐츠 | UCC로 하는 올드미디어 신사업 | 문화경영으로 가는 일곱 개 문 / 소비하는 문화에서 생산하는 문화로 / 내 안의 창의성 스파크 튀기기 / 문화의 경영화, 경영의 문화화 / 문화산업에서 문화생업으로 / 작게 경작하고 글로벌로 거두는 문화플랜테이션 / 문화이념을 내리고 문화실학은 거양 / 침잠하는 문화생활 5부 부의 미래, 문화가 해답이다 문화콘텐츠 우화: 갖바치와 미디어 빅뱅 | 2020 문화콘텐츠 전망 | 생산 부문 트렌드 | 유통 부문 트렌드 | 소비 부문 트렌드 | 기반 인프라 부문 트렌드 | 붉은 악마와 한바탕 놀아본 사람들이에요 | 문화허브, 드림 코리아로 가는 순례 참고문헌 |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