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 노무현과 오바마를 분석하다
심리학자, 희망과 변화의 선도자들을 만나다
노무현과 오바마. 한 사람은 한국의 전직 대통령이고 한 사람의 미국의 현직 대통령이다. 노무현은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 인권변호사가 되었고 진보운동을 거쳐 정치에 뛰어들었으며, 오바마는 평범한 가정에서 흑백 혼혈로 태어나 진보운동을 하다 정치에 입문했다. 이처럼 아주 불리한 여건에서 출발했으나 두 사람은 각기 자기 나라에서 대통령 자리에까지 올라섰다. 그들은 자금과 조직 면에서 열세했으나 국민들의 뜨거운 지지와 성원을 등에 업고 겹쌓인 난관을 차례차례 극복해냈고, 연속적으로 기적적인 승리를 일구며 마침내 대통령에 당선됨으로써 인간승리의 산 표본이 되었다. 한국에서의 노무현의 대통령 당선 그리고 미국에서의 오바마의 대통령 당선은 국민들에게 커다란 감동과 희망을 안겨준 일대 사건이었다.
보수세력이 오랫동안 집권해온 나라에서 비주류 정치인으로서 대통령이 되었다는 점 외에도 노무현과 오바마는 비슷한 점이 아주 많다. 기초적인 심리를 결정지은 유년기와 청소년기, 무의식적 동기나 정치적 지향, 심지어 ‘링컨’을 존경하는 것까지. 그렇다면 그들은 성격 면에서는 어떨까? 심리학자 김태형은 놀라운 심리적 유사성을 가진 노무현과 오바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유년기에 형성된 건강한 심리, 아버지로 인한 사회불안, 진보운동을 통한 심리적 숙제의 해결, 심리적 건강성, 성격분석, 대통령 자리의 고통과 꿈, 역사의 수호자와 화해의 전도사 등 7가지 주제를 선별한 뒤 심리학적 분석틀을 사용하여 두 사람의 심리와 인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선량하고 마음이 건강하며 지도자로서의 능력까지 겸비한 두 사람이 현대사에 끼친 긍정적인 영향을 가늠해볼 수 있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을 공부했다.
‘교보문고 북모닝 CEO’의 북멘토로서 심리학 책의 서평을 쓰고, 인터넷 한겨레의 ‘심리학자 김태형의 블로그’를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심리학자, 정조의 마음을 분석하다』, 『베토벤 심리상담 보고서』(대한출판문화협회 선정 2008년 올해의 청소년도서), 『스키너의 심리상자 닫기』, 『새로 쓴 심리학』, 『성격과 심리학』(공저), 『부모-나 관계의 비밀』(공저) 등이 있다.
책머리에
프롤로그·희망과 변화의 선도자들을 만나다
1. 행복한 유년기를 보내며 건강한 심리를 다지다
행복했던 반항아'돌콩'
노무현이 열등감의 화신이라고?
예의바른아이
어린 노무현의 마음
어머니로부터의 꿈
여성이라면 자신 있어
열등감을 방어해준 행복한 유년기
인생의 스승, 어머니
결론 및 요약 건강한 심리의 기초가 다져진 유년기
2. 사회불안을 안고 살아가다
좌절한 아버지들
일그러진 역사의 현장, 봉하마을
당하고 사는 남자들
부정의한 세상의 피해자들
가문의 염원
아버지의 빈자리
환상 속의 가짜 아버지
아버지로부터의 도피
위기 때마다 나타난 여성 천사들
결론 및 요약 아버지의 운명을 뛰어넘어라
3. 진보운동으로 심리적 숙제를 해결하다
그 무엇도 회피하지 않겠다
피할 수 없는 운명
진보운동은 노무현을 어떻게 바꾸었나?
투쟁은 나를 계속 전진하게 만들었다
시대정신을 마음껏 호흡한 아이
무너진 왕의 동상
나를 구원한 것은 피플 파워였다
머나먼 길을 돌고 돌아 아버지와 화해하다
결론 및 요약 진보운동과 자기분석
4. 노무현과 오바마의 심리
노무현과 오바마의 심리적 건강성
솔직성
도덕성
그 무엇도 회피하지 않는 태도
사람에 대한 신뢰
계승과 혁신
역지사지에 기초한 공감능력
반성능력
노무현과 오바마의 심리적 차이점
친親남성 VS 친親여성
똑같은 배우자, 다른 동기
5. 장군(ENTJ)노무현과 순교자(INFJ) 오바마
따뜻하고 정의로운 장군(ENTJ) 노무현
행동하는 순교자(INFJ) 오바마
장군(ENTJ) VS 순교자(INFJ)
6. 그들에게 대통령 자리는 축복인가 저주인가
인간 노무현의 고통
노무현이 되통령이 된 까닭은?
노무현을 증오한 사람들
진보진영은 무엇을 했는가?
모처럼 찾은 평화
그는 위험하다
결국 나는 실패한 것인가?
아킬레스건을 명중시킨 악마의 화살
운명인가?
아직 끝나지 않은 오바마의 꿈
사회적 욕구와 대중정치인
미국의 공자, 오바마
희망을 잃지 않는 낙관주의자
포용력을 가진 통합의 정치인
오바마는 순진한 이상주의자인가?
부모를 극복한다는 것
그와 함께라면 아직 희망은 있다
7. 역사의 수호자와 화해의 전도사
소중한 사람
반드시 지켜내야 할 사람들
에필로그·단신으로 반동의 수레바퀴를 멈춰 세우다
부록
성격이론 개요
노무현과 오바마의 성격과 인생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