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제와 포용
한국 사회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오피니언 리더 방귀희의 『배제와 포용』 출간!
“배제의 경험으로 포용을 말하다”
우리 사회 갈등은 배제에서 시작되었고, 포용은 그 배제를 해결하고 치유하는 길이라며 2003년부터 신문과 잡지에 300여 편을 기고하며 오피니언 리더(opinion leader)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칼럼니스트 방귀희 씨(장애예술인협회 회장)가 예리하게 집어낸 배제가 우리 가슴을 후려치고, 그녀가 제시한 포용 방법이 마음을 안정시키는 칼럼집 『배제와 포용』(Exclusion & Inclusion)이 출간되었다.
2007년 칼럼집을 낸 후에 발표한 글들을 모아 총 87편을 6장으로 구성하였는데 10대 일간지 기고 글이 68%를 차지할 정도로 대중적인 활동을 한 방귀희 작가는 배제의 사례를 자신의 경험을 통해 들면서 세계적인 이론을 근거로 포용적 인식 갖기를 소개하고 있다.
1981년 동국대학 수석 졸업, 31년 동안 방송작가로 KBS에서 일하고, 2012년 문화특보로 청와대 근무라는 방귀희의 모든 경력에는 휠체어 장애인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2015년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라 지독한 배제를 당하였지만, 현재 대학에서 ‘장애인예술론’과 ‘장애인문학론’을 강의하며 역시 새로운 학문을 개척하고 있다. 그동안 『솟대문학』 발행인, 방송작가,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로 그녀가 소개되었지만 마지막 자신의 정체성은 오피니언 리더로서의 작가가 되고 싶다고 고백하였다.
“이 책을 세상에 내놓는 이유는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장애인을 비롯한 약자에 대한 차별이 얼마나 유치하고 그로 인한 배제가 얼마나 무지한지를 알리고 싶어서입니다. 당신의 배제는 우리 사회를 분열시킵니다. 여러분은 이제 포용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 모두 공진(共進)할 수 있습니다.”라며 서문에서 간곡히 포용을 호소하고 있다.
무학여자고등학교 수석 입학, 동국대학교 수석 졸업 · 동대학원 문학석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 박사 졸업, 박사학위 논문은 국내 최초의 장애인예술을 주제로 한 「장애예술인의 창작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숭실사이버대학교 방송문예창작학과 특임교수로 ‘문화예술복지와 정책’, ‘장애인문화예술의 이해’, ‘방송구성작법’, ‘문학공모전연습’을 강의하면서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구성작가실기론), 한국체육대학 노인체육복지학과(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다문화사회의 이해, 장애인복지론, 인간관계론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문화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삼육대학교 스미스교양대학에서 ‘장애인예술의 이해’를 강의하고 있다. KBS, EBS, BBS, BTN, 복지TV에서 31년 동안 방송작가로 일해 오다 2012년 대통령문화특별보좌관으로 청와대에 근무하며 문화예술 실무를 쌓은 문화통이자 사회복지 전문가로 문화와 복지를 융합시킨 문화복지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
『솟대문학』 발행인, (사)한국장애인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 상임대표,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문화행사전문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였고, 현재 (사)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로 『E美지』와 『솟대평론』 발행인으로 일하며 경향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 국민일보, 한겨레신문 등 일간지에 300여 회 기고, 아티클, 세미나 발표 90여 회, 대중 강연 200여 차례, 주요 작품으로 장편소설 「샴사랑」, 장편동화 「정경부인이 된 맹인 이씨부인」 외에 인문학서 「한국장애인사」, 「세계장애인물사」, 「장애인문화예술의 이해」 등 30여 권의 저서가 있다. 다양한 사회 활동으로 국민훈장 석류장, 한국방송작가대상, 한국여성지도자상 외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갖고 있다.
E-mail: ghbang57@hanmail.net
<차례>
│프롤로그│
배제의 경험으로 포용을 말하다 4
1. 당신의 장애인지 감수성은
장애인공무원 차별, 우선 해결해야 16
(동아일보/2019. 4. 4.)
올해의 장애인먼저실천상은 김정숙 여사에게 18
장애인 인권 앞장선 김정숙 여사의 활동(경향신문/2018. 12. 13.)
살맛나는 세상이 되기를 소망한다 21
휴머니즘의 기본은 나눔(국민일보/2018. 1. 6.)
트럼프를 통해 본 대통령의 장애인 수용 태도 24
(에이블뉴스/2016. 11. 21.)
2016년 장애인, 유령인간 되다 26
유난히 쓸쓸한 2016년 장애인의 달(경향신문/2016. 4. 11.)
아름다운 자유 29
장애인에게 아름다운 자유를(경향신문/2016. 2. 4.)
병신년 논란 32
그래 봤자, 병신년?(경향신문/2016. 1. 4.)
대한민국의 부끄러운 자화상 35
최초 좋아하는 꼴찌 대한민국(경향신문/2009. 1. 8.)
휠체어는 몸이다 38
(경향신문/2008. 10. 30.)
장애인 인형을 갖고 놀아야 한다 41
장애인 인형(경향신문/2008. 7. 10.)
조용필을 좋아하는 영애 씨 44
(경향신문/2008. 4. 3.)
장애인과 동전 47
(경향신문/2007. 11. 8.)
차이를 인정하자 50
차별에서 차이로(경향신문/2007. 8. 30.)
이중적인 시각 53
(현대불교/2005. 3.)
2. 장애인 코드로 문화 보기
<마음이 부시게> 살아야지 58
(경향신문/2019. 3. 19.)
착한 영화, 착한 올림픽 61
(경향신문/2018. 2. 9.)
진짜 홍보대사 딘딘 이야기 64
(국민일보 쿠키뉴스/2017. 10. 9.)
<태양의 후예>가 착한 이유 67
(서울신문/2016. 4. 15.)
<복면가왕>의 미학 70
(경향신문/2015. 7. 23.)
미생끼리 정말 왜 이래? 73
(서울신문/2015. 2. 18.)
<국제시장> 속의 숨은 이야기 75
(한국일보/2015. 1. 4.)
2014년 공주는 여성과 소통하는 자립형 78
(경향신문/2014. 2. 16.)
영화 <관상>의 진짜 결론 81
(경향신문/2013. 9. 30.)
<늑대소년>이 준 메시지, 약속 84
(서울신문/2012. 11. 29.)
전동휠체어를 탄 공주를 환영한다 87
(에이블뉴스/2012. 5. 22.)
<시크릿 가든>의 복지 키워드를 찾아라 89
(에이블뉴스/2011. 1. 24.)
드라마 <동이>에 빠진 것 92
드라마 <동이> 시각장애인 악사 빠져 아쉬움(경향신문/2010. 5. 20.)
<아바타>의 두 가지 의문점 94
(한겨레신문/2010. 1. 10.)
절망에 감동하는 사람들 97
(에이블뉴스/2009. 9. 14.)
故김수환 추기경과 영화 <워낭소리>가 주는 교훈 100
김 추기경과 장애농부의 정당한 가난(동아일보/2009. 3. 6.)
장애인영화 한일전 103
(에이블뉴스/2005. 2. 16.)
3. 장애인복지는 안녕한가
장애인에게 얄미운 인공지능 110
(한겨레신문/2018. 8. 28.)
장애인시설에 관해 우리는 왜 그런 걸까? 113
(한겨레신문/2018. 7. 31.)
장애인을 배제한 정치는 더욱 희망이 없다 116
(경향신문/2018. 6. 20.)
청년장애인 일자리, CT가 답이다 119
장애인 일자리 문화기술이 답이다(동아일보/2018. 5. 11.)
가정 해체를 강요하는 복지제도 122
(경향신문/2018. 4. 17.)
아동학대 속에 장애가 있다면 125
장애는 학대받을 이유 아니다(경향신문/2016. 5. 5.)
발달장애인과 소통하는 사회 128
(경향신문/2016. 3. 4.)
장애인주차구역을 사수하라 131
(에이블뉴스/2016. 2. 24.)
정체성의 정치 133
장애인의 정체성 끌어안는 정치 기대(동아일보/2015. 11. 25.)
장애인공약을 딜(deal)한다 136
이런 장애인공약이 필요하다(국민일보/2012. 2. 2.)
복지는 액세서리가 아니다 139
(국민일보/2011. 10. 2.)
기부 문화 이대론 안 된다 142
(경향신문/2008. 12. 11.)
위대한 대통령은 위대한 국민이 만든다 145
위대한 대통령 만나려면(경향신문/2008. 11. 20.)
장애아로 키우지 마라 148
장애아부모부터 변하라(경향신문/2008. 5. 1.)
복지 대통령을 원한다 151
약자들의 대통령이 없다(경향신문/2007. 12. 6.)
장애자녀도 위조하고 있다 154
가수 이상우 씨와 장애자녀(경향신문/2007. 9. 20.)
4. 왜, 장애인예술인가
오현 스님은 장애예술인의 구원투수였다 158
(경향신문/2018. 5. 30.)
시 낭송하는 장관이 돋보이는 이유 161
지진이 일어났을 때 장애인은 어떻게 하나요(동아일보/2017. 12. 12.)
블랙리스트 장애인의 공개 청원 164
(한겨레신문/2017. 2. 21.)
시각장애 피아니스트와 안내견 167
(경향신문/2016. 9. 23.)
약자의 행복을 만드는 크리에이티브 170
(경향신문/2016. 7. 28.)
대작(代作)과 장애인화가 173
(경향신문/2016. 7. 1.)
‘전해라’ 심리 176
솟대문학 꼭 살아날 것이라고 전해라(경향신문/2015. 12. 22.)
아빠 강원래와 가수 강원래의 차이 179
(에이블뉴스/2015. 6. 12.)
4월 어느 날 고독사를 한 장애인화가를 기리며 181
(동아일보/2015. 4. 8.)
가슴 시리도록 착한 저항시 184
(경향신문/2014. 11. 28.)
아름다운 약속의 힘 187
(경향신문/2014. 7. 7.)
이외수와 장애예술인의 차이 190
(경향신문/2013. 1. 21.)
죽어야 만들어지는 법 193
중증장애인 예술가들도 돌아보자(한겨레신문/2011. 3. 4.)
“고마워” 말씀 남기고 간 스승 196
(한겨레신문/2004. 5. 18.)
5. 포용적 인식 갖기
사회 지도층이 미~쳤어 200
(금강신문/2019. 4.)
뉴노멀 시대를 준비하자 203
뉴노멀 시대를 살아가려면(금강신문/2019. 1. 28.)
시대적 혼란, 불이(不二)사상이 답이다 206
(금강신문/2018. 7. 27.)
그래도 내가 불자인데… 209
(월간『 금강』/2017.)
부처님과 로봇 214
(금강신문/2017. 9.)
지금 우리에겐 원효가 필요하다 217
원효의‘ 화쟁 사상’서 배우자(경향신문/2014. 8. 27.)
눈부시게 싱그런 꽃들에게 219
弔詩 발표(국민일보 쿠키뉴스/2014. 4. 22.)
장애는 과연 업보인가? 221
(에이블뉴스/2014. 3. 7.)
선거의 미학, 중도(中道) 224
(금강신문/2011. 10. 21.)
나무가 그늘을 만드는 이유 227
(금강신문/2011. 1. 27.)
무소유와 나눔의 미학 230
(금강신문/2010. 3. 26.)
6. 소소한 장애 정체성
사랑과 이별 그리고 초콜릿 234
(조선일보/2016. 8. 31.)
나는 나를 믿는다 238
(행복한 동행/2011. 6. 23.)
난 가슴이 따뜻한 남자가 좋다 240
(경향신문/2011. 2. 27.)
배려는 힘이다 243
(경향신문/2007. 8. 16.)
친절한 장애인 246
(경향신문/2007. 3. 23.)
아름다운 눈높이 시상식 249
(불이회 30주년 기념 책/2018.)
나는 건강한가? 253
(월간『 금강』/2018.)
책의 미션 257
(도봉문화정보도서관 잡지/2018. 여름호.)
청춘은 선샤인이다 261
(청춘을 응원합니다. 2018.)
내가 나를 쓰다 266
(한국YWCA 한국여성지도자상 수상자 모음집/2013.)
나는 작가다 277
(생활의 발견/2012.)
‘결혼해야죠? ’라고 물어주세요 280
(「휴먼필」/2012.)
행복을 파는 여자 284
「( 그래도 행복해지기」/2011.)
우리 엄마를 홍보합니다 294
(사랑에세이/2009.)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는 독서왕,
LS-Nikko동제련 구자홍 회장 298
『( E美지』5호/2017.)
│에필로그│
내 청춘은 아팠지만 빛났다 308